 | | ▲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중소기업 일자리 확대를 위한 현장방문으로 지난 3일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시화공단 프론텍을 방문해 공장 내부를 둘러보며 직원과 악수를 하고 있다. |
대다수 중소기업들은 국회 처리가 늦어지고 있는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이 인력난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중소기업인들과 만나 중소기업인들의 고용을 정부가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가 최근 중소기업 220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7년 일자리 추경에 대한 중소기업 의견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83.6%가 추경안에 찬성했다.
중소기업들은 추경안 찬성 이유로 ‘청년 일자리 창출 등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에 도움이 돼서’(42.4%)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청년·서민 소비 여력 확충을 통한 내수 활성화 유도’(24.4%) ‘창업, 육아 등 일할 수 있는 환경 개선’(17.4%) ‘지역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15.8%) 순으로 대답했다.
특히 지방에 소재하고 있는 중소기업은 ‘지역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이유로 추경안에 찬성하는 비율이 수도권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 중소기업의 절반 이상은 추경안이 통과되면 ‘채용 등 경영상황 개선에 직·간접적인 효과가 있을 것’(매우 효과: 10.5%, 다소 효과: 41.8%)이라고 답했다.
한편 김동연 부총리는 지난 3일 경기 시흥비즈니스센터를 방문해 중소기업 관계자 및 근로자들과 중소기업 일자리 확대를 위한 현장 간담회를 열고 “일자리를 늘리는 기업들에 지원해주는 세제들을 한데로 모아서 고용증대 세제를 만들려고 한다”고 밝혔다.
고용증대세제는 그간 각 부처에서 나온 고용투자 창출 세제를 모아 좀 더 확대된 지원방안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김 부총리는 이달 말, 늦어도 다음달 초 발표하는 세제개편안과 다음달 발표되는 내년도 예산안, 8월 말 가계부채 대책, 자영업자·소상공인 대책 등에대해 “정부에서 하는 일련의 정책들의 중심에 일자리가 있다”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김 부총리는 “내년도 세제개편안의 포인트 두가지는 일자리 창출과 소득 재분배”라면서 “고용창출 세제의 경우 고용창출 투자세액 공제 지원 기간을 현행 1년에서 더 늘리고 금액도 확대하고 중견기업까지 대상으로 확대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김 부총리는 “현장에 온 것도 기업인들로부터 정부가 어떻게 하면 사람들을 쓸 수 있을까 듣고 싶었고 근무하시는 분들께는 정부가 뭘 해주면 젊은이들이 산업단지의 우수한 중소기업에 가서 일할 수 있을까 듣기 위해 왔다”고 설명했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중소기업계는 우리나라 경제 체질 개선을 위한 새 정부 일자리 정책에 적극 참여할 계획”이라면서 “추경이 마중물 역할을 해 경제의 활력을 찾을 수 있도록 노·사·정 모두의 협력과 여야 간 협치가 필요한 때”라고 밝혔다.
[출처] 중소기업뉴스 하승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