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계가 저렴한 가격에 원부자재를 공동구매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전용보증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신용보증기금이 운영하는 전자상거래보증은 구매기업과 판매기업 1:1로 보증이 발급되는 구조로 중소기업 공동구매가 불가능하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최근 704개 중소기업협동조합과 1002개 중소기업 조합원사를 대상으로 '공동구매 전용보증 수요조사'를 시행한 결과, 조합과 조합원사 65.1%가 "공동구매 확대를 위해 공동구매 전용보증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이미 공동구매를 하는 조합의 70.2%는 공동구매 전용보증이 도입될 경우 현재 31억원인 공동구매액을 51억원까지 평균 20억원 가량 확대하겠다고 응답했다. 공동구매를 실시하지 않고 있는 조합의 73.9%도 "공동구매 전용보증이 도입된다면 평균 7억원 규모로 공동구매를 하겠다"고 밝혔다. 원부자재 공동구매는 원부자재를 다량으로 공동 구매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고, 안정적으로 원부자재를 공급받는 협동조합의 주요 공동사업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협동조합의 34.8%가 실시 중이며 공동구매 규모는 총 1조1700억원, 조합당 평균 31억1600만원으로 조사됐다. 유영호 중기중앙회 회원지원본부장은 "협동조합이 공동구매를 추진할 때 자금과 신용, 구매물량 부족으로 가격 인하 효과가 미미하고 이 때문에 참가 기업이 감소하는 악순환을 겪고 있다"면서 "공동구매 중소기업에 실질 구매력을 지원하고 협동조합은 대금지급 불확실성을 해소하도록 공동구매 전용보증을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중소기업신문 박진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