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시장을 선도할 월드클래스 300 기업 36개사 선정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은 2017년 ‘월드클래스 300 프로젝트’ 및 ‘글로벌 전문기업 육성사업’ 지원대상(이하 ‘월드클래스 기업’)으로 36개 중소ㆍ중견기업을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 월드클래스 300 선정기업(265개사) : 신규 36개사 + 기 선정 229개사 * 「한국형 히든챔피언 대책」(‘14.10)에 따라 중소기업청 ’월드클래스 300‘과산업통상자원부 ’글로벌 전문기업‘을 공동 선정ㆍ운영 (‘15~) 월드클래스 300 프로젝트는 정부와 지원기관, 민간은행이 협력*하여 성장의지와 잠재력을 갖춘 우수 중소ㆍ중견기업을 글로벌 히든챔피언으로 육성하기 위해 2011년에 시작되었다. * ‘17.4월 현재, 지원기관, 민간은행 등 17개 기관, 20개 육성 프로그램 운영 중 → 참고 1 우리경제가 대기업 중심에서 ‘중소ㆍ중견기업’ 중심구조로 전환하고 있는 가운데 월드클래스 300 기업은 중소ㆍ중견기업 성장의 롤 모델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해 오고 있다. 그간 선정된 월드클래스 300 기업은 미래 핵심전략 및 원천기술개발과 해외마케팅 역량강화 등을 통해 높은 성장률을 시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기업군별 지표현황 비교(2012~2015) >
구 분 | 매출 연평균증감 | 수출 연평균증감 | R&D 집약도 | 고용 연평균증감 | 전체기업 | 2.8% | △1.3% | 1.13% | 3.2% | 대 기 업 | 1.6% | △3.2% | 1.46% | 0.5% | 중소기업 | 5.1% | △2.2% | 0.68% | 3.6% | 월드클래스 | 6.29% | 9.07% | 4.70% | 5.30% |
* (출처) 전체, 대·중소기업(한국은행, 연도별 ‘기업경영분석’), 월드클래스 230개사(중기청 자체조사, ‘16.6) 월드클래스 300 기업에 선정되려면, 글로벌 히든챔피언으로 성장하기 위한 기술, 해외마케팅, 투자ㆍ경영 분야별 성장전략서를 수립하고 실현 가능성 등에 대한 엄격한 심사를 거쳐야 한다. '17년에도 산ㆍ학ㆍ연 전문가로 분야별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50여일 동안 요건심사, 분야평가, 현장실사 및 평판검증, 종합평가 등 4단계 심층평가를 거쳐 36개의 우수한 기업을 선정하였다. 특히, 글로벌 강소기업 → 월드클래스 300 기업 → 글로벌 히든챔피언으로 성장 단계별 육성을 위해 선정 36개사 중 10개사는 글로벌 강소기업에서 선정하였다. 이번 선정된 36개사는 중견기업 4개사, 중소기업 32개사로 평균 매출액 1,043억원, R&D집약도(매출액 대비 연구개발투자비율) 4.3%, 수출 비중(매출액 대비)은 56.6%에 달하였다. < 선정기업 역량 >
구 분 | 5년 평균 매출액성장률 | 3년 평균 R&D집약도 | 수출비중 | 업체당 고용인원 | 선정기업(36개) | 28.0% | 4.3% | 56.6% | 247명 |
지방중소기업청 주도의 지역별 설명회 및 성장전략서 작성 교육 등을 통해 비수도권 소재(23개사, 63.9%) 기업이 과반을 넘어서는 등 지역에 숨겨진 우수기업이 예년보다 많이 선정되었고 * 비수도권 선정 비율 : (‘15년) 16개(53.3%) → (’16년) 27개(54.0%) → (‘17년, 1차) 23개(63.9%) 업종별로는 전기전자 분야가 41.7%(15개사)이고, 기계소재 36.1%(13개사), 화학 11.1%(4개사), 바이오ㆍ의료 5.6%(2개사) 등의 순으로 선정되었다. ‘17년 선정기업들은 성장전략을 통해 지속적인 기술개발, 신시장 개척 등 신성장동력 창출에 매진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리성형 장비 전문기업인 ㈜대호테크*는 3D Curved Glass 성형기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 태블릿 PC 등 스마트 기기부터 냉장고ˑTV 등 제조업 전분야로 적용범위를 넓혀 글로벌 고객을 확대하고 * (매출액) 1,045억원, (수출액) 1,013억원, (수출비중) 96.9%, (R&D비중) 4.9%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전문기업인 주식회사 테크로스*는 기존 전수 통과방식 전기분해 시스템에 간접식 전기분해 시스템을 추가하여 다양한 제품군으로 시장 대응 능력을 더욱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 (매출액) 920억원, (수출액) 828억원, (수출비중) 92.8%, (R&D비중) 4.73% 또한, 이번에 선정된 36개사는 기술융합과 제품혁신, 신시장 개척 등 신성장전략을 통해 향후 5년간(‘17~’21년) 10,944개 이상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고 매출액 측면에서는 ‘21년까지 업체 평균 4,077억원으로 전망하여 신청 기준연도(업체 평균 1,043억원) 대비 3.9배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선정된 기업에 대해 글로벌 히든챔피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향후 5년 동안 월드클래스 300 기업으로 지정하고 미래전략 및 원천기술개발을 위한 R&D(년 15억원, 최대 5년) 및 해외마케팅 등 전용 지원(년 7.5천만원, 최대 5년) 뿐만 아니라, 국제조세, 지식재산전략 등 전문분야별 해외진출 애로 해소를 위한 맞춤형 컨설팅, 그 외 15개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금융지원 우대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 분야별 전용ㆍ연계 프로그램 → 참고1 주영섭 중소기업청장은 “글로벌 강소기업이 월드클래스 300으로, 그리고 글로벌 히든챔피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성장 단계별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히고 이번에 선정된 기업들에게 글로벌 히든챔피언으로의 성장을 위한 과감한 해외시장 진출과 근로자와 미래수익을 공유하는 ‘미래 성과공유제’ 도입 등 근로자와 상생하는 기업문화 확산에도 적극 동참해줄 것을 당부했다. 중소기업청은 4월25일(11:30~14:00) 주영섭 중기청장과 산업기술진흥원 정재훈 원장 등 지원기관 대표, 선정 36개사 대표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월드클래스 300 기업 선정서 수여식을 가졌다. ※ 출처 : 중소기업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