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E 통합지원센터

핵융합·플라즈마 관련 중소기업 기술지원을 위한 혁신성장 플랫폼입니다

기업맞춤형 기술지원, 정책뉴스, 지원사업소개, 유망기술 제공 등
다양한 기업지원 정보제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중소기업뉴스
[뉴스] 항공기술 자립화에 5년간 1조8000억원 투자
이름 : ACE | 작성일 : 2017.04.24 09:12 | |링크 : http://www.bizinfo.go.kr/see/seeb/selectSEEB111Detail.do

엔진ㆍ항공전자ㆍ경량 신소재 육성…범부처 항공산업 기술로드맵 수립

 

정부가 항공기술 자립화를 위해 민관 합동으로 5년간 1조 8000억 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서울 시내 호텔에서 항공산업 발전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항공산업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주형환 장관은 “항공산업은 한 국가의 기술수준과 산업역량을 대변해 주는 종합 시스템 산업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선진국형 고부가가치 산업”이라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자율주행차, 스마트 선박 등과 연계 통합된 모빌리티(mobility) 솔루션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고려할 때 우리가 놓쳐서는 안될 산업”이라고 강조했다.

 

주 장관은 “향후 10년 이내에 엔진ㆍ항전 등 항공 핵심기술의 자립화를 목표로 향후 5년간 민관합동 1조8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말했다.

 

산업부는 항공기 핵심분야인 엔진ㆍ항공전자ㆍ경량 신소재를 집중적으로 육성한다.

 

항공전자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센서ㆍ비행제어ㆍ항법계통 등 필수적인 3대 핵심분야를 집중적으로 육성한다.

 

특히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스마트 캐빈 등 융합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엔진 부문에서 신규 민항기 엔진 국제공동개발 참여를 추진하고 군과 연계한 엔진개발 대형 국책 과제를 발굴하기로 했다.

 

또 항공기용 경량신소재 적용을 위해 오는 2020년까지 항공용 타이타늄 초정밀 부품 기술을 확보하고 민간기업의 자체 개발 과제와 연계해 타이타늄 부품을 국산화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올해 하반기 중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범부처 항공산업 기술로드맵을 수립할 예정이다.

 

주 장관은 “다양한 비즈니스가 창출될 수 있도록 융합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라면서 “항공업체, ICT, 소프트웨어, 소재 기업 등 서로 다른 업종 간 원활한 협력이 이뤄지도록 항공-ICT 융합 얼라이언스를 조속히 발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중장기적으로 민수 항공기, PAV, 우주 등 항공우주 시장의 주역이 돼 우리의 미래 먹거리와 일자리 창출의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자동차항공과 044-203-4321

 

※ 출처 : 정책브리핑

IP : 172.25.11.***
QR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