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그리드, 신재생, ESS, 스마트공장 등의 실증연구에 신규투자 집중 - 실증연구 맞춤형 규정으로 연구현장 규제·애로사항 해소 □ 정부가 에너지신산업의 수출 사업화를 위해 에너지기술 분야에 올해 1,000억 원의 실증연구 예산을 투입한다. ㅇ 또 실증 수행과정에서 연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에너지기술 실증연구 평가관리지침』을 제정하고 실증연구 전담 지원 조직도 마련한다. ㅇ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는 2월 14일(화) 산학연 연구개발(R&D) 전문가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에너지기술 실증연구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별첨 간담회 개요 참조) ㅇ 추진배경 □ 에너지기술이 사업화되기 위해서는 발전소나 송배전망 등 전력·에너지망에 연결된 상태에서 개발된 제품의 안전성과 성능을 검증하는 실증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 최근 5년간 에너지 분야 실증연구는 투자규모가 감소하고 과제가 칸막이 형으로 소형화 되는 등 침체기를 겪고 있어 * 실증연구 투자규모(총 에너지 연구개발 예산 대비 비중) / 과제수 : ’12) 1,204억원(13.7%) / 19개 → ’16) 760억 원(10.9%) / 46개 ㅇ 연구현장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대형, 융복합 실증연구를 통해 에너지신산업 분야 신기술 사업화를 촉진하고자 이번 활성화 방안을 마련했다.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