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자치부·중소기업청, 국무회의 보고 (서울=연합뉴스) 김은경 기자 = 정부가 창업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맞춤형 창업서비스를 지원하고자 마련한 'K-스타트업 창업지원 서비스'가 성과를 내고 있다고 31일 밝혔다. 행정자치부와 중소기업청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정부 3.0 우수 사례로 'K-스타트업 창업지원체계'를 보고했다. 정부 3.0은 정부가 가진 정보를 국민에 개방·공유하고, 부처 간 칸막이를 없애 소통을 원활히 하는 데 더해 국민 한 명 한 명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정책이다. 정부는 각 부처에서 개별적으로 추진하던 창업지원사업을 정부 3.0 협업을 통해 'K-스타트업' 단일 브랜드 체계로 통합, 창업정책의 접근성 및 인지도를 제고했다. K-스타트업 홈페이지에서 7개 부처의 62개 창업지원 사업정보를 포괄적으로 안내하고, 중소기업청 외 기관에서 진행하는 창업지원사업도 K-스타트업을 통해 신청 및 접수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했다.
중기청은 "2015년 227만 명이던 K-스타트업 홈페이지 방문자 수가 K-스타트업 통합 브랜드 적용 및 서비스 개선 후에는 289만 명(27.3%↑)으로 늘었다"고 평가했다. 주영섭 중기청장은 "앞으로도 맞춤형 창업지원서비스를 통해 창업자들의 현장 애로와 걸림돌을 제거하는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를 계속해서 제공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윤종인 행정자치부 창조정부조직실장도 "기관 간 창업정책정보를 공유하고 단일창구를 통해 제공하는 것은 정부 3.0 가치에 부합하는 우수 사례"라며 "이와 같은 사례가 늘어날 수 있도록 정부 3.0를 계속 확산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