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보호무역주의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는 상황에서 국내 중소기업의 수출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수출 품목 및 지역 다변화와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 기업과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소기업연구원은 16일 발표한 '최근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대 및 국내 중소기업의 대응 방안' 보고서에서 "저성장 기조가 지속하고 경기 회복이 지연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이 강화되고 있다"며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아메리카 퍼스트'의 영향으로 미국발 보호무역 확대 기조가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러한 보호무역주의 확대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개방형 구조를 가진 한국경제에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이 연구원은 지적했다. 중기연구원은 자원이 부족하고 비가격 경쟁력이 약하며 특정 품목 및 지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내 중소기업들의 경영난이 급격히 악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들은 단기적으로는 불필요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정부나 유관기관 등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공동 대응체계를 구축해야 하고 강조했다. 중장기적으로는 수출 품목 및 지역을 다변화해 외부환경 변화에 대한 완충능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산업계와 정보를 공유하면서 지원을 확대하는 한편 중장기적으로는 자유무역협정(FTA) 추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협상력 강화 등으로 보호무역 제재를 완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출처] 중소기업신문 이지하 기자 | |
IP : 172.2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