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형성장 없이 빚으로 연명하는 한계기업이 매년 가파르게 늘고 있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조차 제대로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부실한 한계기업 비중은 최근 4년 사이 9%에서 12%로 확대됐다. 9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한계기업 비중 확대와 생산성 둔화'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산업 가운데 한계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9.4%에서 2015년 12.7%로 크게 확대됐다. 한계기업은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비용)이 3년 연속 100%를 밑도는 기업을 말한다. 이자보상비율은 영업활동으로 창출한 수익으로 이자 등 금융비용을 부담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내 한계기업의 비중이 같은 기간 5.4%에서 8.9%로 증가했고 건설업과 서비스업에서 한계기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각각 8.7%, 14.1%에서 11.3%, 17.1%로 늘었다. 한계기업이 가장 많이 몰린 분야는 서비스업종으로 절반이 넘는 56.0%(2015년 기준)가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34.68%의 비중을 차지한 제조업이 두 번째로 많았다. 업종을 41개로 세분화해서 살펴보면 32개 업종에서 한계기업의 비중이 증가했다. 특히 담배, 농림어업, 인쇄 등의 분야에서 한계기업 비중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한계기업 비중이 1%포인트 증가하면 우리나라의 총요소생산성은 0.23% 감소한다"며 "지금처럼 한계기업이 늘어나면 국내 산업이 성장하는데 큰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회복 가능성이 없는 한계기업은 자원배분 효율성 확보 차원에서 시장원리에 따라 과감히 퇴출할 필요가 있다"며 "최근 정치 불안정 등으로 기업구조조정이 완화되거나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출처] 중소기업신문 이지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