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년 산업부 R&D 총예산 33,382억원의 27% 비중 ①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에 6,449억원을 투자하여 중장기 핵심ㆍ원천기술 개발 및 산업고도화 촉진 ② 글로벌전문기술개발사업에 1,717억원을 투자하여 단기 상용기술 개발 및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육성 ③ 우수기술연구센터사업에 826억원을 투자하여 세계일류상품 개발촉진 및 세계적 수준의 기업부설연구소로 육성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는 산업경쟁력 강화 및 중소중견기업의 기술역량 제고를 위해 2017년 ①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②글로벌전문기술개발사업, ③우수기술연구센터(ATC)사업에 총 8,992억원을 투자한다. ㅇ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은 유망 산업분야의 핵심ㆍ원천기술 개발에 대한 집중지원을 통해 산업고도화를 촉진하고 산업경쟁력을 제고를 위한 중장기 사업으로 2017년도 총 사업예산은 6,449억원이다. ㅇ 글로벌전문기술개발사업은 상용기술 개발지원을 통해 기술혁신 역량을 보유한 중소ㆍ중견기업을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육성하는 단기 사업으로 2017년도 총 사업예산은 1,717억원이다. ㅇ 우수기술연구센터사업(ATC) 세계일류상품 개발촉진과 글로벌 수준의 기업부설연구소를 육성하는 사업으로 2017년 총 사업예산은 826억원이다. □ 산업통상자원부는 동사업과 관련하여 12월 27일(화)에 1,457억원 규모의 2017년도 신규 지원계획을 공고하였다. 이번 신규공고에 대한 사업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의 ‘17년 신규예산(안)은 1,159억원이며, 이번 공고대상은 총 119개 과제, 829.94억원이다. ㅇ 공모형태로는 ①품목지정형 과제 41개에 248억원을 지원하고, ②지정공모형 과제 75개에 581.94억원을 지원한다. ㅇ 세부사업으로는 ①창의산업분야 189억원(33개 과제), ②소재부품산업분야 206.44억원(35개 과제), ③시스템산업분야 435.5억원(51개 과제)이다. 사업별 신규 공고액 | ㅇ (창의) 바이오의약(62억원), 나노융합(24억원), 지식서비스(45억원), 엔지니어링(58억원) ㅇ (소재부품) 금속재료(37억원), 화학공정소재(25.5억원), 반도체(60억원), 융복합 디스플레이(5억원), 첨단뿌리기술(20억원), 산업융합(4억원), 섬유의류(27.5억원), 세라믹(27.44억원) ㅇ (시스템) 미래형자동차(95억원), 지능형 로봇(246억원), 조선해양(78.5억원), 메디컬 디바이스(15억원) |
② 글로벌전문기술개발사업의 ‘17년 신규예산(안)은 625억원이며, 이번 공고대상은 10개 사업, 340.22억원이다. ㅇ 공모형태로는 ①품목지정형 과제 41개에 196.5억원을 지원하고, ②자유공모형에는 143.72억원을 지원한다. ㅇ 세부사업으로는 ①창의산업분야 94.42억원, ②소재부품산업분야 166.8억원, ③시스템산업분야 79.0억원이다. 사업별 신규 공고액 | ㅇ (창의) 두뇌역량우수전문기업(22.75억원), 소비재산업고도화(71.67억원) ㅇ (소재부품) 섬유생활스트림간협력(161.85억원), 센서산업고도화전문(4.95억원) ㅇ (시스템) 청정생산기반전문(31.4억원), 튜닝부품(5.17억원), 그린자동차 부품실증화 및 실증(16.2억원), 레이저 핵심부품(5억원), 장비연계형 3D프린팅소재(15.23억원), 차세대 조선에너지부품 3D프린팅(6억원) |
③ 우수기술연구센터사업(ATC)의 ‘17년 신규예산(안)은 287억원이며, 이번 공고대상은 신규예산 전체인 287억원이다. ㅇ 동사업은 100% 자유공모제 사업으로 ①일반 ATC 과제에 257억원, 외투 R&D센터 또는 외국계 공대와 국내 중소ㆍ중견기업간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②글로벌융합 ATC 과제에 30억원을 지원한다. ㅇ 2017년에는 신산업 분야의 지원을 확대하고자 기존 3개 분야에 적용된 지원조건 완화(매출기준 완화(100억원→30억원), 수출조건 면제)를 12개 분야로 확대*하고, 기업간 융합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연구참여기관으로 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 (‘16년) 지식서비스, 바이오의약, 로봇 → (‘17년) 지식서비스, 로봇, 웨어러블디바이스, 전기ㆍ자율주행차, 3D 프린팅, IoT가전, 바이오의약, 스마트헬스케어, 탄소소재, 타이타늄, 나노소재, 융복합소재 ④ 이번 공고에 포함되지 않은 일부 사업들은 추후에 공고할 예정이다. □ 이번 공고와 관련하여 12월 27일(화)부터 산업부(www.motie.go.kr) 및 산업기술평가관리원(www.keit.re.kr) 홈페이지에 사업별 공고문을 게재하여 2017년 1월 2일(월)부터 사업신청을 받고, 4~5월 중 최종 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ㅇ 2017년 사업별 구체적인 지원내용 및 산업기술 R&D 제도 개선방안 등에 대한 대국민 홍보를 위해 2017년 1월 3일부터 전국 8개 도시에서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 [‘17년 산업핵심, 글로벌, ATC 사업설명회 개최계획(안)] 일시 | 지역 | 장소 | 1.3(화) | 서울 | (더케이서울) 거문고ABC홀 | 1.4(수) | 안산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TIP아트센터 | 1.5(목) | 대전 | (충남대) 나노신소재공학원(W1) 산학연교육연구관 대강당 | 1.5(목) | 원주 | (강원도산업경제진흥원) 대회의실 | 1.6(금) | 청주 | (충북지방 중소기업청(청주시)) 대강당 | 1.9(월) | 대구 | (KEIT 본원) 1층 대강당 | 1.10(화) | 광주 | (전남대) G&R허브 1층 대형세미나실 | 1.12(목) | 부산 | (부산지방 중소기업청) 대강당 |
ㅇ 우수기술연구센터(ATC) 사업은 위의 통합설명회 외에 3회에 걸쳐 추가로 단독설명회를 개최한다. [‘17년 우수기술연구센터 단독설명회 개최계획(안)] 일시 | 지역 | 장소 | 1.11(수) | 안산 | (호텔스퀘어 안산) 2층 그랜드볼룸홀 | 1.13(금) | 수원 |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컨퍼런스룸 | 1.16(월) | 성남 | (판교테크노밸리) 글로벌R&D센터 대강당 |
ㅇ 한편,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은 신규 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연구자간 정보공유 및 컨소시엄 구성이 용이하도록 2017년 1월 3일에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통합설명회와 병행하여 기술분야별 정보교류회도 개최한다.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바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