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기술 1호ㆍ2호ㆍ3호 펀드,‘17년부터 순차적으로 조성 - 미래기술 1호ㆍ2호 펀드 위탁운용사 선정 완료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대학, 출연연 등의 과학 기술을 기반으로 창업한 기업을 지원하는 총 1,500억원 규모의 펀드를 ’17년부터 본격적으로 조성한다고 밝혔다. ㅇ 동 펀드는 과학기술기반 창업기업의 성장단계 및 특성을 감안해 미래기술 1․2․3호 펀드로 세분화해 조성될 계획이며, 최근 미래부는 미래기술 1호, 2호 펀드의 위탁 운용사를 선정했다. <[참고]미래기술 1․2․3호 펀드 현황> 펀드명 | 미래기술 1호 (공공기술기반펀드) | 미래기술 2호 (신성장 분야 펀드) | 미래기술 3호 (벤처투자펀드) | 투자대상 | 창업 2~5년 연구소기업, 기술지주회사 자회사 등 | 신성장 분야 공공기술창업기업 | 5년 이상 업력의 공공기술 기반 벤처기업 | 조성규모 | 300억원~500억원 내외 | 150억원 내외 | 1,000억원 내외 | 주요 출자자 | 미래부(150억원), 지자체(110억원 내외) 등 | 중견기업(민간투자자) 등 | 미래부(200억원), 지역은행, 민간투자 등 | 운용사 | 이노폴리스파트너스 | KST 인베스트먼트 | ’17.5월경 선정 예정 | 펀드 결성 | ’17.4월 | ’17년중 | ’17.10월 |
□ 미래기술 1호 펀드(공공기술기반펀드)의 위탁 운용사로는 ‘이노폴리스파트너스(유)’(대표 이상진)가 최종 선정되었다. ‘이노폴리스파트너스(유)’는 ‘06년 결성된 ‘대덕이노폴리스 특허기술사업화 투자조합’의 운용사로서 기존 기술사업화펀드의 성공적인 투자 및 회수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 대덕이노폴리스 특허기술사업화 투자조합(’06~’14년, 800억원) 투자수익률(IRR) 11.4% ㅇ 미래기술 1호 펀드는 창업한지 2~5년의 연구소기업, 기술지주회사 자회사 등 창업 초기 기업에게 성장 마중물을 제공하는 펀드로 ‘17년 4월까지 최대 500억원 규모로 조성된다. ㅇ 미래부(특구재단)가 150억원, 연구개발특구가 위치한 대전, 광주, 대구, 부산, 전북 등 지방자치단체에서 110억원을 출자할 예정이며 기타 펀드 소요재원은 한국벤처투자 등에서 추가적으로 투자를 유치할 계획이다. □ 미래기술 2호 펀드(신성장분야펀드)의 위탁 운용사는 17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이 공동 설립한 한국과학기술지주(주)의 자회사인 ‘케이에스티 인베스트먼트(주)’(대표 강훈)가 선정됐다. ㅇ 신성장 분야 과학기술 사업화기업에 투자되는 펀드로, 운용사가 선정됨에 따라 본격적인 출자자 모집에 나설 전망이다. □ 미래기술 3호 펀드(벤처투자펀드)는 창업한지 5년 이상의 죽음의 계곡(death valley)을 건넌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1,000억원 규모로 조성된다. ㅇ 성장 가능성이 있으나 자금력이 부족한 연구소기업 등 연구개발특구 내 벤처기업에 우선적으로 투자하는 펀드로, ’17년 5월까지 펀드 운용사를 선정해 10월부터 투자를 시작한다. □ 배재웅 연구성과혁신정책관은 “미래기술 1호, 2호 펀드의 운용사가 선정됨에 따라 연구소기업 등 과학기술 기반의 창업기업에 본격적으로 투자가 이루어질 예정”이라며, “과학기술이 창업으로 연결돼 일자리 창출과 경제 촉진제가 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출처 : 미래창조과학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