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E 통합지원센터

핵융합·플라즈마 관련 중소기업 기술지원을 위한 혁신성장 플랫폼입니다

기업맞춤형 기술지원, 정책뉴스, 지원사업소개, 유망기술 제공 등
다양한 기업지원 정보제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중소기업뉴스
9월 ICT 수출입 동향
이름 : ACE | 작성일 : 2015.10.15 10:33 |

9 정보통신기술(이하, ICT) 수출, 올해 최대인 159억불 달성

- 휴대폰 수출 호조, 반도체 D-TV 수출 증가로 2개월 연속 증가 -

 

9 ICT 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1.6% 증가 159.0억불, 수입은 1.4% 증가 77.7억불로 무역수지는 81.3억불 흑자 기록

 

o 세계 ICT 시장의 축소(‘15 전망치 : 4.9% / 가트너) 전체 수출의 부진(9 전체 수출 : 8.3%) 속에서도 ICT 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2개월 연속 증가하면서 올해 최대인 159억불 달성

 

o 15 1~3분기 ICT 수출(1,295억불) 전체 산업의 수출 감소(3,971억불, 6.6%)에도 불구하고 휴대폰(206억불, 5.1%), 반도체(474억불, 5.1%) 등을 중심으로 0.2% 증가하면서 전체 수출의 버팀목으로 역할

 

- 정부에서는K-ICT 전략등을 바탕으로 민관의 역량을 결집하여 ICT 산업의 수출경쟁력 확보 위한 노력을 앞으로도 지속해 나갈 예정

 

K­ICT 전략(15.3.25 발표)이란?

 

- 정보통신기술(ICT) 선도하는 창조 한국 실현 비전으로 ICT 산업 체질개선, 글로벌 협력 강화, 9 전략산업 육성 4가지 중점과제 추진

 

- 2015년을 기점으로 향후 5년간 9조원을 투입하여 정보통신기술 산업 성장률 8%, 2020 정보통신기술 생산 240조원, 수출 2,100억불을 달성하는 것이 목표

 

o ICT 무역수지 올해 들어 처음으로 80억불 넘어섬

 

ICT 수출은 휴대폰, 반도체의 수출 증가 이외에도 최근 부진했던 디지털 티브이(이하, ‘D-TV’) 등도 증가세로 전환함에 따라 늘어남

 

o (품목별) 휴대폰(28.3억불, 34.1%), 반도체(58.6억불, 0.8%), D-TV(6.1억불, 9.3%) 증가, 디스플레이(26.8억불, 14.5%), 컴퓨터 주변기기(6.0억불, 9.0%) 감소

 

- 휴대폰은 국내 업체의 주력 모델 출시와 부분품(20억불, 66.5%) 수출 호조로 2개월 연속 자릿수 증가(8 16.7%, 9 34.1%)

 

- 반도체는 D 낸드플래시의 단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다중칩패키지(Multi Chip Package) 광전소자(이미지센서 ) 수출 증가를 견인

 

- D-TV 부분품(5.0억불, 23.8%)수출이 증가하면서 회복

 

- 디스플레이 해외생산 확대 단가 하락으로 수출 감소

 

- 컴퓨터 주변기기 에스에스디(SSD : Solid State Disk) 보조기억장치의 수출 증가(3.2억불, 6.2%)에도 불구하고 PC시장의 수요 부진* 등으로 감소

 

* 세계 PC시장 성장률 전망(가트너, 매출, %) : (‘13) 11.1 (‘14) 0.8 (’15) 4.4

 

o (지역별) 중국(홍콩 포함, 87.8억불, 6.4%), 아세안(22.5억불, 15.5%), 미국(14.4억불, 3.9%) 수출은 증가, 유럽연합(이하, ‘EU’, 9.9억불, 8.2%) 감소

 

- 수출 상위 1, 2 지역이자 국내 업체의 주요 생산 거점인 중국, 아세안(ASEAN) 휴대폰 부분품 등을 중심으로 수출 증가

- 미국은 컴퓨터 주변기기(0.9억불, 25.0%) 부진했으나, 휴대폰(5.9억불, 9.1%), 반도체(2.6억불, 0.3%) 주요품목 수출 호조로 수출 증가

 

- EU 경기 부진과 디스플레이, 휴대폰 품목 전반의 부진으로 9개월 연속 감소했으나, D-TV(1.5억불, 76.6%) 수출 호조로 감소세 둔화

ICT 수입은 6 이후 3개월 연속 증가(7 6.5%, 8 11.3%, 9 1.4%)

 

o (품목별) 휴대폰(6.9억불, 22.8%), 반도체(35.5억불, 5.6%), 컴퓨터 주변기기(7.1억불, 0.8%) 증가, 디스플레이(4.7억불, 14.1%) 감소

 

- 휴대폰 외산 스마트폰과 휴대폰 부품의 해외 역수입 물량이 증가하면서 수입이 크게 증가

 

- 반도체 시스템 반도체(19.5억불, 12.5%) 수입은 부진했으나 다중칩패키지, D 후공정 물량 중심으로 수입이 증가

 

o (지역별) 아세안(11.8억불, 2.5%) 수입이 증가한 반면, 중국(홍콩 포함, 24.9억불, 11.6%), 일본(9.3억불, 8.8%), 대만(9.3억불, 12.4%), 미국(6.7억불, 13.8%), EU(4.9억불, 15.0%) 등은 감소

 

- 아세안은 시스템 반도체를 국내 업체의 자체 생산으로 전환함에 따라 반도체(4.3억불, 33.7%) 감소했으나, 휴대폰(2.0억불, 347%), 컴퓨터 주변기기(1.4억불, 35.4%) 중심으로 수입이 증가

 

- 중국(홍콩 포함) 반도체(6.6억불, 18.9%), 디스플레이(2.2억불, 19.7%), 휴대폰(아이폰 , 4.3억불, 4.6%) 대부분의 품목에서 수입 감소

 

- 미국은 디스플레이(0.4억불, 20.1%) 증가한 반면, 반도체(3.6억불, 6.9%), 컴퓨터 주변기기(0.3억불, 42.0%) 중심으로 수입 감소

 

ICT 수지는 반도체, 휴대폰, 디스플레이 주력품목의 흑자로 81.3억불 흑자를 기록, 전체 수지 흑자달성(89.4억불) 크게 기여

 

o 중국(홍콩 포함, 62.9억불, 최대 흑자국), 유럽연합(5.0억불), 미국(7.7억불)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ICT 무역수지 흑자 기조 지속하고 있으며,

 

- 일본에 대해서는 무역수지 적자(5.8억불) 기록

 

ICT 산업 전체 산업 수출입 동향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대비)

 

 


2015

2014

9P

19P

9

19

수출

전체 산업

435.1

(8.3)

3,970.7

(6.6)

474.5

(6.3)

4,249.7

(2.8)

ICT

159.0

(1.6)

1,295.3

(0.20)

156.4

(1.5)

1,292.6

(1.6)

수입

전체 산업

345.6

(21.8)

3,307.6

(16.5)

441.8

(7.6)

3,961.6

(3.6)

ICT

77.7

(1.4)

673.1

(4.9)

76.6

(8.8)

641.7

(6.9)

무역수지

전체 산업

89.4

663.1

32.6

288.0

ICT

81.3

622.1

79.9

650.9

 

 

IP : 172.25.10.***
QRcode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