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E 통합지원센터

핵융합·플라즈마 관련 중소기업 기술지원을 위한 혁신성장 플랫폼입니다

기업맞춤형 기술지원, 정책뉴스, 지원사업소개, 유망기술 제공 등
다양한 기업지원 정보제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중소기업뉴스
[과학기술·R&D] 원자크기 수준의 금속 틈 세계 최초 제작
이름 : ACE | 작성일 : 2015.10.15 10:35 |

원자 크기 수준의 금속 세계 최초 제작

양자 수준 금속 틈에 빛을 모으는데 성공, 전자소자분야 혁신 기반 마련

 

0.1나노미터 수준에서 새로운 물리 현상을 관찰하여 전자소자 분야 등에 혁신 가능

김대식 교수 연구팀, 물리학 분야 국제 학술지 피지컬리뷰레터스 표지논문 게재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원자 크기인 0.1 나노미터 너비와 밀리미터 수준의 길이를 가진 금속 * 제작하고, 여기에 밀리미터 크기의 파장을 가진 빛을 모으는데 성공함으로써 전자기파에 의해 유도된 전자 터널링 현상** 관찰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 금속 : 틈새를 통해서만 빛이 투과하므로 파장보다 작은 구멍으로 인해 빛이 투과, 회절, 집속 하는 등의 현상을 관측하기에 유용한 구조로 0.1 나노미터는 1 옹스트롬임

** 전자 터널링 : 전자가 자신이 가진 에너지 보다 높은 벽을 통과할 있는 양자 역학적 현상

서울대 김대식 교수와 아주대 이상민 교수 등이 참여한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지원하는 기초연구사업(리더연구자지원) 통해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물리학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 9 16일자 온라인판에 표지논문으로 게재되었다.

 

o 논문명과 저자 정보는 다음과 같다.

- 논문명 : Electromagnetic saturation of angstrom-sized quantum barriers at terahertz frequencies

- 저자 정보 : 김대식 교수(공동교신저자, 서울대), 이상민 교수(공동교신저자, 아주대), 박영미 박사(공동제1저자, 서울대), 강봉주 박사과정생(공동제1저자, 아주대)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연구의 필요성

빛을 나노미터 크기로 곳에 집속하여 극소량의 생물 화학 분자를 정밀하게 검출하거나 집속된 강한 전기장을 물질에 가함으로써, 새로운 물리현상을 발견하는 연구 분야인 나노광학 자외선부터 마이크로웨이브까지 다양한 주파수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나노광학 다음 단계인 옹스트롬* 광학 1 나노미터 보다 10 작은 수준에서 연구될 뿐만 아니라 전자 터널링** 같은 새로운 양자역학*** 효과를 관찰할 있는데 의미가 있다.

옹스트롬(angstrom) : 빛의 파장이나 원자의 배열을 쓰는 길이의 단위, 1옹스트롬은 0.1 나노미터임

** 전자 터널링 : 전자가 자신이 가진 에너지 보다 높은 에너지 장벽을 확률적으로 통과할 있는 양자 역학적 현상

*** 양자역학(quantum mechanics) : 원자, 분자, 소립자 등의 미시적 대상에 적용되는 역학으로, 거시적 현상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고전역학이 설명할 없는 현상에 대한 물리학의 이론 체계임

이를 테라헤르츠파* 같이 파장대(밀리미터) 포함한 넓은 전자기파 영역에서 탐구하기 위해서는, 입사하는 전자기파의 크기보다 넓은 면적의 금속 필름에 옹스트롬 크기의 틈이 배열된 구조 제작이 요구되어 왔다.

* 테라헤르츠파 : 마이크로파와 원적외선 사이 100GHz~10THz(파장 3mm~30mm) 대역의 전자파로, 파장이 길어서 집속이 잘되고 이를 통해 에너지 장벽을 낮춰 새로운 현상을 쉽게 관찰할 있음

 

2. 발견 원리

연구팀은 지금까지 파장이 밀리미터인 테라헤르츠파 크기에 맞게 1 나노미터 배열구조를 만들어 테라헤르츠파가 내부에 강하게 집속됨을 관측한 있으며,

이번 연구에서는 평행하게 배열된 금속 필름 사이에 원자 크기인 0.1 나노미터 틈을 만들기 위해 이차원 물질인 그래핀* 수직으로 세워 금속 사이에 끼워 넣은 구조를 제작하였다.

* 그래핀(graphene) : 탄소 원자 겹으로 이루어진 이차원 물질

구조를 통해 그래핀과 금속 사이에 존재하는 0.1 나노미터의 틈은 빛을 집속할 있는 이론적으로 가장 작은 공간이다. 틈을 밀리미터로 길게 만들어서 테라헤르츠파를 강하게 집속하는데 성공하였다.

..

3. 연구 성과

연구팀은 옹스트롬 크기의 내부에 테라헤르츠파를 강하게 집속함으로써 사이에 전기장이 최대 17V/nm까지 걸리는 것을 관측하였고, 입사하는 테라헤르츠파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전기장 집속도가 현저하게 줄어들면서 강한 광학적 비선형성이 나타나는 새로운 양자역학적 현상을 관측하였다.

이러한 비선형 현상은 옹스트롬 크기의 금속 사이로 빛이 집속될 금속 사이에 형성된 에너지 장벽의 방향으로 전자의 터널링이 우세하게 일어나면서 나타남을 규명, 옹스트롬 구조에서 양자역학적 현상을 다루는 연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전자소자 분야 첨단분야 혁신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김대식 교수는 테라헤르츠파를 파장보다 작은 구멍에 집속시키는 지난 10 간의 노력을 통해서 틈의 크기를 밀리미터 수준에서 나노미터 수준까지 줄여왔고, 이번 연구를 통해서 원자 크기인 0.1 나노미터까지 도달하는데 성공함으로써 빛을 파장보다 천만 작은 틈에 집속시킨 것에서 세계 기록을 세웠다라며,

 

o 이를 바탕으로 원자 단위에서 강하게 일어나는 전자의 터널링 현상을 빛을 통해 측정하는 양자 크기 수준에서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을 관찰할 있도록 것은 원자 크기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옹스트롬 광학의 발판을 마련한 것이다.라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미래창조과학부 기초연구진흥과

IP : 172.25.10.***
QRcode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