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핵융합실험로 이사회 의장에 남궁원 교수 선임 -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공동개발사업의 주요 결정 주도 □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 장관 최양희)는 남궁원 교수(現 포항공과대학교 명예교수)가 ‘국제핵융합실험로(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이하 ITER) 공동 개발사업’을 주관하는 ITER 국제기구의 이사회 의장에 선출되었다고 11월 23일(월) 밝혔다. ㅇ ITER 사업은 미국·러시아·유럽연합(EU)·일본·중국·한국·인도 7개국이 공동으로 ‘핵융합을 통한 에너지 대량생산 가능성을 실증’하기 위한 초대형 국제공동연구로, 2007년부터 프랑스 까다라쉬에 약 79.1억 유로(약 10.5조원)규모의 실험로를 건설 중이다. □ ITER 이사회는 7개 ITER 회원국 대표가 모여 ITER 사업 목적 달성을 위한 제반활동을 관리·감독하고 협정 관련 사항 및 중요 사안 등을 심의·의결·승인하는 회의체이다. ㅇ 지난 주 열린 제17차 ITER 이사회(’15.11.18∼19)는 만장일치로 우리나라의 남궁원 교수를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하였으며, 이에 남궁원 교수는 ‘16년 1월 1일부터 약 2년간 ITER 이사회 의장직을 수행할 예정이다. ※ 회원국 간 사전 협의된 순서에 따라 의장국 결정: (‘14-15년) 미국→ (’16년) 한국 □ 남궁원 교수는 핵융합에너지 및 가속기분야에서 30여 년 간의 경력을 지닌 세계적인 전문가로 포항공과대학교 포항가속기연구소 소장 (‘96~’98), 물리학과 교수(‘98~09) 등을 역임하였다. ㅇ 또한 ITER 사업 초기부터 참여한 전문가로, ITER 기구 초대 경영 평가관(‘09년) 및 ITER 사무총장 선정위원(‘14년), ITER 이사회 부의장(’15년~현재)직을 수행하는 등 ITER 사업에 대한 이해가 깊고, 관련 전문가 사이에 덕망이 높다. ㅇ 금번 선임과 관련하여 남궁원 교수는 “ITER 건설사업 가속화 및 안정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국가적 사명과 책임감을 가지고 향후 ITER 사업에 큰 힘이 되도록 노력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미래부 문해주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지난 9월 이경수 박사(前 국가핵융합연구소장)의 ITER 기구 기술총괄 사무차장 선임에 이어, ITER 이사회 의장에 남궁원 교수가 선임됨에 따라, ITER 사업을 한국이 주도하게 되었다. ITER 사업을 잘 이끌면 다른 분야에서도 한국 과학자가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밝혔다. ㅇ 이 밖에도 제17차 ITER 이사회에서는 ITER 테스트블랑켓모듈 위원회 의장에 전북대학교 홍봉근 교수, ITER 이사회준비회의 의장에 ITER 한국사업단 이현곤 본부장을 각각 선임하였다. 미래창조과학부 핵융합지원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