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으로 위성발사체 부품 국산화 성공 - 차세대 소형중형위성 탑재 및 차기 발사체 등 적용 가능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 지원으로「위성용 고속/고정밀 별추적기」, 「고해상도 위성카메라용 X밴드 안테나장치」 및 「발사체에 적용할 고강도 연소기 헤드 제조기술」을 국내 산업체에서 국산화에 성공하였다고 밝혔다. ㅇ 동 성과는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으로 ‘12년부터 3년간 지원해 온 과제로, 다양한 위성(탑재체 포함)과 발사체에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핵심기술 들이다. □ (주)쎄트렉아이가 개발한 『비행모델(FM)급 고속/고정밀 별추적기』는 별을 관측해서 위성자세를 알려주는 부품으로 현재 국내 저궤도 실용급위성개발에 필수적인 고부가가치 자세제어 센서이다. ㅇ 이번 개발된 에이피에스*(APS, Active Pixel Sensor)기반의 별추적기는 기존의 씨씨디*(CCD, Charge Coupled Device)기반보다 전력소모가 적고, 빠른 각속도에서 정확한 자세정보를 제공한다. * APS, CCD는 영상 이미지 센서의 종류로, CCD는 잡음이 낮고 영상품질이 우수하나 APS는 저전력 소형화에 유리하고 고속영상처리 및 CCD 수준의 영상 제공도 가능 ㅇ 동 부품은 ‘17년 발사될 차세대소형위성**에 탑재되어 우주환경에서 검증될 예정이며, 향후 국내외 위성에 탑재되어 수입대체 및 해외수출 효과가 기대된다. ** 차세대소형위성 : 표준화․모듈화․소형화된 100kg급 소형위성 □ (주)극동통신에서 개발한 『고해상도 위성카메라용 X밴드 안테나 장치』는 위성의 자세와 무관하게 안정적인 데이터 송신율을 보장하면서 기동성을 갖춘 짐벌형(gimbal)* 안테나 시스템이다. * 위성의 궤도운동과 무관하게 지상국에 안테나 지향 ㅇ 현재 다목적위성 3호․3A호에 장착되어 운용중인 안테나 시스템보다 진동레벨을 감소시키고 경량화하여 국산화에 성공하였으며, 향후 개발될 차세대중형위성 등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또한, 재료연구소에서 국산화에 성공한 『고강도 재료를 이용한 연소기 헤드』는 액체 로켓 엔진의 높은 추력하중을 감당하는 구조물로 상온 및 극저온에서 초고강도의 특성이 요구되는 핵심 부품이다. ㅇ 선진국의 발사체분야 비공개 기술로 국내에서는 시도된 적이 없는 초내열합금을 이용하여 정밀주조법으로 연소기헤드를 제조하고 주조결함을 최소화하는 에이치아이피(HIP, Hot Isostatic Pressing) 공정기술을 개발하였다. 동 기술 개발로 고강도 연소기 헤드 제조 기반기술 확보는 물론 시제품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차기 발사체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미래부 관계자는 “박근혜 정부의 국정과제인 ‘우주기술 자립으로 우주강국 실현’을 위해, 앞으로도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을 확대하여 기존 수입에 의존하던 우주핵심부품의 국산화를 추진하는 등 국내 우주기술 수준을 높이는데 지속적인 노력을 하겠다.”라고 밝혔다. 끝. 미래창조과학부 거대공공연구정책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