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충남․전남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 박차 - (강원) ‘17년까지 빅데이터 기반 창업기업 30개 육성, 모바일 기반 중소상공인 성공사례 500개 창출 계획 ⇨ 9월중 빅데이터 포탈 1단계 운영 개시 및 케이클라우드(K-Crowd) 구축 완료 - (충남) ‘17년까지 태양광 유망벤처 25개 육성, 명품 농수산품 15건 개발, 해외진출 100개사 지원 계획 ⇨ 서산 태양광 벤처단지 및 죽도 에너지 자립섬 시범사업 공사 연내 완공 예정 - (전남) ‘17년까지 35개 바이오화학 중소‧창업기업 육성, 125개 농수산식품 및 50개 관광상품 판로 개척 지원 계획 ⇨ 농수산벤처 창업경진대회 추진중(농림부 공동), 바이오부탄올 데모플랜트 내년 완공 예정 □ 8.31(월),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개최된 제5차 ‘창조경제혁신센터운영위원회’*에서는 강원‧충남‧전남 3개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운영방안**이 확정되었음 * 구성 : 미래‧산업부 장관, 경제‧미래전략수석, 전담기업 임원 등 기능 : 창조경제혁신센터 관련 주요 사항 심의‧조정 ** 혁신센터의 업무계획 성격으로 17개 센터 중 대구, 대전 등 8개 센터의 운영방안이 기마련되었으며 금번 3개 센터 운영방안 확정으로 총 11개 센터의 운영방안이 마련됨 ㅇ 이번 운영위원회에는 정부(미래부 장관, 산업부 2차관 등), 지자체(강원‧충남‧전남부지사), 창조경제혁신센터장, 전담기업(네이버, 한화, GS) 등이 참석함
□ 3개 센터의 운영방안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음 【 안건1 :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방안 (보고자 : 한종호 센터장) 】 □ 강원혁신센터는 ①데이터 기반 창조경제 인프라 구축 및 창업 활성화, ②ICT를 활용한 지역 전략산업 육성 지원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임 ① 데이터 기반 창조경제 인프라 구축 및 창업 활성화 |
□ (주요내용) 빅데이터 포털(민‧관 보유 데이터 공유‧활용) 구축으로 데이터 기반 창업을 활성화하고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을 통한 사업화를 지원 ㅇ 이를 통해, 향후 3년간 ICT/빅데이터 기반 창업기업 30개를 발굴‧육성하고,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을 통해 30개의 아이디어를 사업화할 계획임 □ (추진현황) 빅데이터 포털 구축 1단계*로 네이버 내부 빅데이터를 우선 제공**(창업 키워드 분석 서비스, 9월중)하고 더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공공‧민간기관과의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있음 * (1단계) 네이버데이터 활용(‘15.8) → (2단계) 공공데이터 수집‧시각화(’15.12) → (3단계) 공공-민간 데이터 유통 플랫폼 기능(‘16) ** 빅데이터 포털 1단계 시범 운영 : http://labspace.naver.com/data/ ㅇ 빅데이터 기반 창업자 발굴‧지원을 위해 빅데이터 창업 클럽 빅토리(BIGTORY) 1기 40명을 모집(9월 발대식 예정) ㅇ 크라우드 소싱 플랫폼인 ‘케이클라우드(K-Crowd)’의 구축을 완료*하였고, 서비스 운영을 통해 활성화 방안과 보완책을 마련할 예정 * K-Crowd 공식 사이트 : http://kcrowd.kr/ □ (향후계획) 공공 데이터를 추가로 확보하여 빅데이터 포털의 기능을 확충하고, 한국DB진흥원의 ‘DB(데이터베이스)스토어’와의 연계를 추진 ㅇ 빅데이터 창업 클럽을 대상으로 빅데이터 창업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강원도-네이버 공동으로 공모전을 진행하여 창업 희망자를 지속 발굴 예정 ※ 강원대 데이터분석센터와 데이터 분석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협약 체결 ㅇ 전국 혁신센터 및 지역 유관기관과 연계하여 ‘케이클라우드(K-Crowd)’를 통해 연내에 2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발주할 예정 □ (주요내용) 스마트 O2O 등 정보통신기술(ICT)를 활용하여 관광·헬스케어·농업 등 지역 전략산업을 육성 지원할 계획 ㅇ 향후 3년간 중소상공업체 대상 스마트 O2O를 통해 성공사례 500개를 발굴하고, e-커머스 분야 청년 창업가 30명을 육성할 계획임 □ (추진현황) O2O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500여명 참여)하여 138개 업체의 모바일 홈페이지와 컨텐츠 제작을 지원 * 도내 오지를 대상으로 대형버스를 개조한 이동식 스마트 스튜디어 운영 ㅇ 네이버-강원도-관광공사 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하여 강원도 관광자원 정보를 이용자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고(GO)’를 개발 진행 중 ㅇ 지역 청년 창업 활성화를 위해 ‘e-커머스 드림 청년장사꾼’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강원대 내 ‘창업스쿨’을 학과 과정(학점제)으로 개설 ㅇ 농식품부와 공동으로 ‘농업벤처 공모전’을 진행 중, 스마트팜 창농 발굴과 사업화를 지원 추진 □ (향후계획) 연 1,000명을 목표로 O2O 교육을 정기 진행, 모바일 관광 큐레이션 서비스 ‘GO’를 연내에 개발완료하고, 해외 관광객 유치 및 2018 동계올림픽 활용을 위해 다국어 지원 기능을 추가 개발할 계획임 ㅇ 사물인터넷(IoT)/빅데이터 헬스케어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정보화전략기획(ISP) 프로젝트를 발주하고, 9월 중 유관기관과 ‘사물인터넷(IoT) 헬스케어 전담팀(TFT)을 구성 예정 * 네이버, 혁신센터, 한림대병원, 강원발전연구원, 원주 의료기기테크노밸리 등 ㅇ 강원대 평생교육대학원에 스마트팜 전문과정을 개설하고 6차 산업 인증기업 100개를 대상으로 모바일 플랫폼 교육을 지원할 계획(‘15년하) 【 안건2 :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방안 (보고자 : 이병우 센터장)】 □ 충남혁신센터는 ①태양광 클러스터 구축 ②농수산품 명품화 및 고부가가치화 ③중소벤처기업 글로벌 진출 지원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임 □ (주요내용) 태양광 응용제품의 아이디어 발굴부터 사업화‧판로까지 지원하고, 죽도 신재생에너지 자립섬 실증사업, 서산 벤처단지 조성을 통해 태양광 관련 유망 중소기업의 성장을 지원할 계획임 ㅇ 이를 통해 향후 3년간 태양광 제품 아이디어 75건 이상을 사업화하고, 태양광 관련 유망벤처를 25개 이상 육성해 나갈 계획임 □ (추진현황) 중소‧대기업 협력 모델을 적용한 죽도 실증사업*은 지역 중소 6개 업체가 참여중으로 지난 7월 공사를 착공(‘15년말 완료예정) * 충남 홍성군 죽도를 에너지 자립섬으로 전환(기존 디젤발전소 →100% 신재생에너지), 212.5kW급, 사업비 25억원(정부&지자체 40%, 한화 60%) ㅇ 서산 벤처단지*도 ‘16.1월 입주를 목표로 공사 중이며, 설비제공‧기술교류 등을 통해 유망 벤처기업으로 육성할 입주기업을 발굴 중 * 서산테크노밸리 내 대지 16,530m2, 건평 6,600m2, 부대시설(태양광 효율 실증 시설)로 구성 ㅇ 지역대학(공주대)에 태양광 응용제품 디자인 실기과정 학과를 개설(‘15.9)하고 사업화를 위한 솔라 win-win 펀드를 조성·운영 중(‘15.6, 100억원, 한화) □ (향후계획) 창업 아이템 발굴을 위한 공모전을 지속 실시(년4회)하고, 솔라숍(온라인 몰)을 구축하여(’15년말) 창업제품 판매를 지원할 계획임 ㅇ 죽도에는 실증사업 후 태양광 응용제품을 활용한 친환경 캠핑장을 조성(홍성군)하고 충남 6개 도서지역으로 에너지 자립섬 모델을 확산할 계획임 □ (주요내용) 품질‧디자인 개선, 스토리텔링 등을 통한 브랜드 가치 제고, 판로 확대를 체계적으로 지원하여 농수산품의 부가가치를 높일 계획임 ㅇ 이를 통해 향후 3년간 100건 이상을 상품화하고 그 중 15건 이상을 명품 농수산품으로 개발할 계획임 □ (추진현황) 금년도 명품화 사업 지원대상으로 5개 품목을 선정하여 디자인 개선,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 중임 * 5개 품목 : 농가애, 자연사랑, 궁골, 일대고춧가루, 사과와인 ㅇ 이와 별도로 갤러리아 아름드리 숍 매장을 개설(‘15.5)하여 20개 브랜드 86개 품목을 판매 중(’15.8.20 기준 매출액 236백만원) □ (향후계획) 유망 농수산품을 지속적으로 발굴(150개 브랜드 530개 품목)하여 명품화 개발·지원하고, 고부가가치화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 * 품질인증지원, 스토리텔링 기획, 디자인코칭, 전문가멘토단 자문, 명사강연 등 ㅇ 아울러, 갤러리아백화점 전국지점, 면세점, 한화 계열사, 농식품상생협력추진본부, 타 혁신센터 등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으로 판로를 확대할 예정 □ (주요내용) 무역존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수출을 원스톱 지원하고 해외사업화 가능 창업기업을 발굴하여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Dream-Plus GEP 프로그램(한화)을 운영할 계획임 ㅇ 이를 통해 총 100개 이상 업체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할 계획임 □ (추진현황) 무역존 구축(코트라, 무역협회, ㈜한화 파견)을 완료하였고, GEP 프로그램을 통해 해외진출 계약 성사 지원 및 투자 협약 체결* * 앤, 웨이웨어러블 등 총 16억원(8.27, 창조경제혁신센터 페스티벌에서 체결) □ (향후계획) 무역존을 통해 전국 17개 센터와 연계하여 중소기업 수출을 지원하고, GEP 프로그램 지원 업체 선발(연3회)‧지원할 예정 ㅇ 또한, 사이버 상담회(KOTRA, 연4회), 전문무역상사 수출 상담회(무역협회, 연2회) 등과 연계·지원하고, ㈜한화를 통한 직접 수출도 지원 예정 【 안건 3 : 전남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방안 (보고자 : 정영준 센터장) 】 □ 전남혁신센터는 ①농수산 벤처 창업 및 웰빙관광 산업 육성, ②친환경 바이오화학 생태계 구축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임 □ (주요내용) 농수산과 웰빙관광 산업의 부가가치 제고를 위해 지에스(GS)의 국내외 유통망을 활용하여 케이푸드(K-Food)와 케이투어(K-투어)의 판로개척과 상품화를 지원할 계획임 ㅇ 향후 3년간 125개사의 우수한 농수산 식품과 50개사의 관광상품을 발굴하고 국내외 판로개척을 지원할 계획임 □ (추진현황) 전남도-지에스(GS) 공동으로 품평회‧공모전 등을 개최하여 지역 우수 농수산품을 선정, 유통전문가의 컨설팅을 통해 상품성을 제고하고 지에스(GS) 유통채널을 활용한 판로개척 지원에 주력중임 ※ 농수산 제품 3개를 국내와 중국 홈쇼핑 채널을 통해 판매, 인도네시아 방영을 준비 ㅇ 센터내에 농식품 벤처‧창업특화센터를 설치(‘15.6)하여 농식품 창업관련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중이며, 농수산벤처 창업경진대회를 추진중(농림부 공동) ㅇ 3개 관광상품은 센터가 이행보증증권과 수수료를 지원하고 지에스(GS)홈쇼핑은 입점을 추진중이며, 웰빙관광 공모전을 진행 중(‘15.8.24~) ㅇ 해조류를 활용한 고기능성 소재개발을 위한 후보자원 10종을 발굴(‘15.7), 시범사업단을 구성하여 발굴된 제품의 사업화를 지원할 계획 □ (향후계획) 지에스(GS) 유통 전문가가 중소‧벤처창업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에스(GS) 유통망의 취급상품을 확대할 계획 * 품질‧위생‧인증 등 생산 공정 컨설팅 및 홍보‧마케팅‧디자인 등의 분야별 솔루션 제공 ㅇ 농수산식품 벤처 창업아카데미를 운영(년4회)하고 농장실습제를 통해 예비창업자에게 현장경험과 노하우를 전수할 계획 ㅇ 시제품 제작을 지원(K-Food 랩, 디자인스튜디오)하고, 모바일 전자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운영교육, 투자유치 설명회 등을 통해 농수산 벤처 창업을 활성화할 계획 ㅇ 체험형 마을기업의 우수 콘텐츠를 발굴하고 홈페이지 구축, 찾아가는 컨설팅, 아카데미 운영 등 관광상품의 고품질화를 지원할 계획 ㅇ 스마트 염전 벤처기업을 발굴하여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연내에 2천평 규모의 실증단지를 조성할 계획 □ (주요내용) 여수의 화학산업 인프라를 기반으로 친환경 바이오화학 전후방산업 육성을 통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의 생태계 구축 ㅇ 단기적으로는 바이오추출물(친환경 비료‧농약‧환경개선제 등) 분야를, 중‧장기적으로 바이오화학(바이오 부탄올‧폴리머) 분야의 육성을 통해 유망 벤처‧중소기업 35개사를 발굴하고 지원해 나갈 계획임 □ (추진현황) 바이오추출물(패각 등)을 활용한 제작사인 드림라인社를 발굴하여 항균제품 인증시제품 제작을 지원하고 지에스(GS)홈쇼핑을 통한 판로개척 지원을 검토 중 ㅇ 바이오부탄올 데모플랜트와 바이오폴리머 파일럿 플랜트 구축 준비 중 ※ 바이오부탄올 데모플랜트: ‘16년 4사분기 준공 예정(300톤/년, 약 500억 투자) 바이오폴리머 파일럿 플랜트: ‘16년 10월 준공 예정(100톤/년, 약 50억 투자) □ (향후계획) 바이오추출물 중소‧벤처업체를 추가 발굴하고 지에스(GS)칼텍스 연구소를 활용한 맞춤형 멘토링 교육과 특화교육을 실시할 계획임 ㅇ 바이오메스 원료 전문기업의 전처리 기술을 지원하고 친환경 포장재, 자동차 부품소재 등 응용제품 벤처‧중소기업 지원을 강화할 계획임 미래창조과학부 민관협동창조경제추진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