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E 통합지원센터

핵융합·플라즈마 관련 중소기업 기술지원을 위한 혁신성장 플랫폼입니다

기업맞춤형 기술지원, 정책뉴스, 지원사업소개, 유망기술 제공 등
다양한 기업지원 정보제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중소기업뉴스
[창조경제] 창조경제혁신센터 1년 성과
이름 : ACE | 작성일 : 2015.09.14 13:07 |

창조경제혁신센터 확대출범 이후 운영 현황

- 최근 2개월간 창업보육기업 2, 중소기업 기술판로자금지원 건수 3 증가 -

- 최근 2개월 동안 투자펀드 집행실적 3 이상 증가(108억원359억원) -

- 혁신센터·중기청·민간 연계 지역별 데모데이 펀드집행 가속화 추진 -

 

지난 2014.9.15.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의 확대 출범이후 1년여간 혁신센터의 출범과 함께 창업허브, 지역특화 산업 중소기업의 혁신지원, 지역혁신기관과의 연계 강화 노력함

 

전국에 혁신센터 개소가 완료(2015.7.22) 시점을 전후하여 센터의 기능이 모든 면에서 빠르게 활성화되고 있음

 

- 6월말 대비 9.8 현재 최근 2개월여간 업력 7 미만의 창업보육기업 180개에서 391개로 2 이상 증가하였고, 창업보육기업의 매출 23억원에서 193.5억원으로 8, 신규인력채용 48명에서 82명으로 2 가량 증가

 

- 업력 7 이상의 중소기업의 기술·판로·자금 지원 건수 104에서 281건으로 3 가량 증가

 

주요 성과사례 살펴보면, 테그웨이는 유네스코의 2015 세상을 바꿀 10 정보통신기술(ICT) 그랑프리를 수상하였고, 외에도 JB드론코리아, 이대공, 텀퓨어, KPT, 한국NSD 성공사례가 탄생하여 후발 창업가들에게 좋은 롤모델 되고 있음

 

* (JB드론코리아) 전북혁신센터의 멘토링, 자금연계 지원 등을 통해 중국 ‘Jun Fa Electronic Limited’로부터 20억원 규모의 투자유치 확정(15.8)

 

* (이대공) 대구혁신센터의 씨랩(C-Lab) 공모전 1 졸업기업으로 ’15.7 서울 안국동에 오프라인 매장 오픈(소비자 맞춤형 디자인의 기능형 가방’)

 

* (텀퓨어) 대학생 창업기업으로 부산혁신센터의 창업공간기술금융연계 지원 등을 통해 텀블러 세척기시제품 제작에 성공, 롯데계열 커피전문체인에 납품 논의

 

* (KPT) 화장품 원료제형분야 기술보유기업으로 충북혁신센터와 공동기술개발 마케팅 개선을 통해 ‘15.7 구슬모양 화장품 콜라겐 진주환출시, 전국 1,200 더페이스샵 매장에서 판매 글로벌 화장품 기업과 원료공급 협의 진행

 

* (한국NSD) CNC방전가공기(드릴) 중소기업으로 충남센터 무역존을 통해 터키에 $43,500수출 계약(15.8), 추가 20만불 계약을 준비중

 

창조경제혁신센터의 투자펀드 집행도 본격화 되고 있음

 

전국 17 시도의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하여 향후 5년간 8,174억원의 투자펀드 조성을 목표로 9 8 현재 3,575억원(목표치 대비 44%) 조성되었고, 359억원(조성액 대비 10%) 집행

 

- 혁신센터의 출범시기를 고려할 , 6월말 이전 출범한 센터 부산센터와 전남센터를 제외하고는 펀드 조성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음

 

* 부산센터의 경우 영화펀드 세부분야별 투자 비중에 대해 일부 이견이 있었으나 관계기관간 협의가 마무리단계

 

* 전남센터의 경우에도 지자체의 출자금 확보가 지연되고 있으나 전담기업인 GS 성장사다리펀드 기관의 출자금으로 우선 펀드를 조성하기로 관계기관간 협의가 완료

 

집행의 경우 대구, 대전, 경북, 경기, 강원, 충남, 울산, 인천 8 지역센터에서 투자실적이 이루어졌음

 

- 혁신센터 보육, 펀드조성 운용사 선정이 진행된지 얼마되지 않은 등을 감안할 , 아직 집행실적이 본격화되기 어려운 있으나

 

- 최근 2개월 동안 집행실적(증가분 기준) 2 이상* 확대되는 빠른 속도로 집행이 늘고 있어 조속한 시일 정상궤도로 진입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됨

 

* 조성/집행실적(억원) : (6월말) 1,380/108.1 (9.8) 3,575/359.3

 

정부는 이에 더하여, 혁신센터 연계 투자펀드의 집행을 활성화하기 위해

 

우선, 지난 8 7 전국 혁신센터와 민간기관이 협업하여 성공적으로 개최한 창조경제 데모데이 벤치마킹하여 주요 지역별 창업·보육기업과 투자자간 연결을 위한 데모데이를 연말까지 순차적으로 개최 계획임

 

- 센터별로 기획하는 데모데이 3 지역* 선정하여 중기청 함께 주요 벤처캐피털(VC) 등이 참가하는 행사로 확대 추진 예정임

 

* 후보지역 : 충북(10월초), 경남(10월말), 전남(11)

 

또한, 혁신센터별 보육기업 성과전시회 등과 연계한 데모데이 등을 수시 개최할 계획임

 

아울러, 펀드의 모험적 투자 촉진을 위한 제도개선 마련하여 추진할 계획임

 

- 미래부·중기청 정부의 민간투자 연계형 연구개발(R&D) 자금 지원사업 한국과학기술지주·미래과학기술지주 공공투자 연계 강화할 예정임

 

- 혁신센터 파이낸스존 참여 금융기관 함께 투자 대상기업을 지속 발굴 나가고

 

- 혁신센터 전담기업 중기청 별도 펀드( : SK-Knet 펀드, 청년창업펀드 ) 운용과정에서 혁신센터와 정보공유, 투자기업 공동검토 연계 강화해 나갈 계획임

 

미래창조과학부 창조경제진흥과

IP : 172.25.10.***
QRcode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