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E 통합지원센터

핵융합·플라즈마 관련 중소기업 기술지원을 위한 혁신성장 플랫폼입니다

기업맞춤형 기술지원, 정책뉴스, 지원사업소개, 유망기술 제공 등
다양한 기업지원 정보제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중소기업뉴스
[창조경제] 창조경제혁신센터 6차 운영위 결과
이름 : ACE | 작성일 : 2015.09.22 09:11 |

경남제주세종 창조경제혁신센터 성과 창출 박차

 

(경남) ‘17년까지 메카트로닉스 벤처중소기업 150개사 이상 육성,
대체 물산업 항노화 바이오산업 창업기업 60개사 이상 창출

 

(제주) ‘17년까지 제주 체류형 창업 100개팀 동남아 진출 25개사 지원,
문화SW 융합 창업기업 30개사 뷰티 강소기업 5개사 육성

 

(세종) ‘17년까지 IoTSW 기반 농업 지역특화 벤처 50개사 육성
ICT 기반의 세종형 창조경제 마을 모델 개발 확산

 

9.18()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개최된 6 창조경제혁신센터운영위원회*에서는 경남제주세종 3 센터의 운영방안** 확정되었음

 

* 구성 : 미래산업부 장관, 경제미래전략수석, 전담기업 임원
기능 : 창조경제혁신센터 관련 주요 사항 심의조정

** 혁신센터의 업무계획 성격으로 17 센터 대구, 대전 11 센터의 운영방안이 련되었으며, 금번 3 센터 운영방안 확정으로 14 센터의 운영방안이 마련됨

 

이번 운영위원회에는 정부(미래산업부 장관 ), 지자체(경남, 제주, 세종), 혁신센터장, 전담기업(두산, 다음카카오, 아모레퍼시픽, SK) 등이 참석함

 

3 센터의 운영방안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음

(안건 1)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방안 (보고자 : 최상기 센터장)

 

경남 센터는 기계산업에 ICT 융합한 메카트로닉스 허브 구축, 해수 담수화 대체 물산업 육성, 경남의 지역 특화산업인 항노화 바이오 산업 육성을 중점 추진해 나갈 계획임

 

메카트로닉스 허브 구축

 

(개요) 기계산업에 최첨단 정보통신기술을 결합한 융복합 ()기술의 사업화와 주요 부품소재의 국산화를 지원하여, 2017년까지 카트로닉스 분야 벤처중소기업 150개사 이상을 육성하고 30개사는 강소기업으로 성장시킬 계획임

 

(기계-ICT 융복합 사업화 지원) 올해 6 구글 캠퍼스에서 두산중공업이 8건의 정보통신기술 Needs 200여명의 ICT 업체에 제시한 결과, 3 분야 5개의 기계-ICT 업체 매칭* 이루어짐

 

* (분야 1) 건설기계 텔레매틱스 시스템 분야 1 업체, (분야 2)머신 컨트롤 분야 3 업체, (분야 3)단방향 통신장치 개발 1 업체

 

향후 이러한 매칭 행사를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기계와 정보통신기술(ICT) 업체 매칭 발굴을 확대하는 한편, 발굴된 업체에 대해서는 실질적인 제품 개발로 이어질 있도록 사업화를 본격 지원 계획임

 

(부품소재 국산화 지원) 올해 8 부품소재 국산화를 지원할 중소기업 37개사를 발굴*하였고, 향후 두산중공업의 기술 명장을 활용한 기술 컨설팅, 자금판로개척 등을 집중 지원할 계획임

 

* 16개사는 이미 경남 센터 인큐베이팅룸에 입주하여 집중 육성

 

국산화가 시급히 요구되는 3 분야-해양 플랜트용 소재부품, 항공기용 부품, 무인 항공기- 별도로 시범사업* 진행하고 있음

 

* 해양 플랜트용 극저온 소재부품 개발, 수출용 헬기(수리온) 연료탱크 항공기용 부품 국산화, 수출용 무인항공기(드론) 개발

대체 물산업 육성

 

(개요) 국내 대체 물산업을 고부가가치화하고 워터 캠퍼스 운영 등을 통해 전문인력을 집중 양성하여, 2017년까지 분야의 벤처중소기업 30개사 이상을 육성 계획임

(대체 물산업 고부가가치화) 올해 8 집중적으로 육성할 중소기업 5개사를 발굴하였고, 향후 제품개발인증상용화, 판로개척 등을 본격적으로 지원할 계획임

고부가가치화가 시급히 요구되는 2 분야-해수 담수화 플랜트 관리 시스템, 기자재 국산화- 별도로 시범사업* 진행하고 있음

 

* ICT 기술을 활용한 해수 담수화 플랜트 관리 시스템(CMMS : Computerize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해수 담수화 플랜트 기자재 국산화

(워터 캠퍼스) 올해 9 경남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파일럿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10월부터는 교육 대상을 중소기업 근무인력 등으로 확대하여 워터 캠퍼스를 본격적으로 운영 계획임

 

항노화 바이오산업 육성

 

(개요) 항노화 바이오산업을 종합 지원하기 위한 체계를 구축하고 항노화 자원과 관광 자원이 결합된 6차산업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여 2017년까지 분야의 벤처중소기업 30개사 이상을 육성 계획임

(종합지원 체계 구축) 올해 4 지역내 16 기관* 종합지원 체계 구축 양해각서(MOU) 체결하였으며, 향후 부산센터(마케팅) 충북센터(R&D) 핵심역량을 활용하여 전략품목의 기술사업화를 집중 지원할 계획임

* 경남 TP, 진주바이오산업진흥원, 부산대 한의학전문대학원, 하동녹차연구소

(6차산업 비즈니스 모델 개발) 지역 특화 항노화 자원과 관광 자원을 결합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하여 창업을 집중 지원할 계획임

* ) 하동 녹차밭을 활용한 녹차 힐링 테라피 서비스

(안건 2)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방안 (보고자 : 전정환 센터장)

 

제주 센터는 동아시아 창조 허브 구축, 관광산업 고부가가치화 지원, 제주 Carbon Free Island 조성을 중점 추진해 나갈 계획임

 

동아시아 창조 허브 구축

 

(개요) 2017년까지 글로벌 인재 100팀의 제주 체류형 창업과 국내 벤처 25개사의 동남아시아 진출을 지원하고, 문화SW 융합 스타트업 30개사를 육성 계획임

 

(글로벌 인재의 체류형 창업 지원) 올해 10월부터 글로벌 인재들의 제주내 체류형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공모를 통해 100개팀을 선정하여 체류 숙소, 상호 교류*, 시제품 제작 공방** 등을 지원 계획임

 

* Trend Talk(가칭) : 성공한 벤처기업문화창작자 등의 강연, 문화공연 제공

** 다음카카오의 모바일 콘텐츠 제작 도구 Oven 등을 제공

 

(국내외 혁신주체간 네트워크 구축) 올해 6 동남아 창업허브 IT 선도기업* 협력 MOU 체결하여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였음

 

* 인니 Hubud(창업 허브), 중국 Tencent(모바일 기업), 필리핀 Hatchd Group(VC) 10 기관

 

이를 토대로, 올해 10월부터 3년간 동남아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벤처 25개사에게 현지에 체류(2)하면서 현지 기업과 교류하고 현지 시장 진출도 모색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계획임

 

또한, 제주에 기반한 혁신주체들의 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2016년까지 200명의 Human Libary DB 구축하고, 올해 11월에는 SW 문화가 결합된 창조페스티벌(Jeju the Cravity) 개최할 계획임

 

(문화SW 융합 스타트업 육성) 스타트업 20개사 다음카카오의 크라우드 펀딩인 뉴스 펀딩 통해 우수한 아이디어만으로도 초기 창업제작자금을 조달 있도록 지원할 계획임

 

또한, 올해 10월부터 제주 원도심내 방문객의 왕래가 잦은 곳에 안테나 5개소를 구축하여 판로 개척을 지원 계획임

관광산업 고부가가치화 지원

 

(개요) Beacon(위치 정보 송신기) 기반 스마트 관광 플랫폼 구축, K-Beauty 명품 관광 콘텐츠 개발, 관광창업사관학교 운영 등을 통해 2017년까지 뷰티산업 분야 강소기업 5개사를 육성 계획임

 

(Beacon 기반 스마트 관광 플랫폼 구축) 올해 10 제주내 3개소-제주공항, 동문시장, 중문관광단지- Beacon 구축 계획임

 

이를 실제 창업으로 연결하기 위해, 올해 10월부터 센터 주관 Beacon 활용 교육, Beacon 활용한 개발 경진대회 등을 실시할 계획임

 

(K-Beauty 명품 관광 콘텐츠 개발) 올해 10 관광 콘텐츠 개발을 전담하는 2센터를 설립(아모레퍼시픽 지원)하고, 2016년까지 제주내 1,200 가량의 자연관광생태문화 콘텐츠 DB 구축 계획임

 

(관광창업사관학교 운영) 올해 7월부터 제주관광공사와 함께 관광 분야 예비 창업자를 교육하기 위한 관광창업사관학교를 설립하여 운영 으로, 7~9 2개월 55명이 교육을 이수하였음

 

제주 Carbon Free Island 조성

 

(에너지 산업 테스트 베드 구축) 올해 8 제주도, LG 등과 협업하여 에너지 신산업 테스트 베드 구축 계획을 수립하였음

 

이를 토대로, 2016년까지는 행원 풍력단지와 연계한 에너지 자립형 Eco 타운을 조성하고, 2017년까지는 가시리와 동복리에 Eco 타운 2개소를 추가 조성할 계획임

 

(추자도 에너지 자립섬 시범사업) 올해 8 제주도청을 중심으로 추자도 전기차 충전 인프라 보급 기본계획을 수립하였음

 

이를 토대로, 2016 6월까지 전기차 보급과 충전 인프라 관리 시스템 구축을 완료 2016 하반기부터는 창업기업 등에 운영 데이터, 연구개발(R&D) 지원 등을 제공 계획임

(안건 3)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방안 (보고자 : 최길성 센터장)

 

세종 센터는 ICT 기반 창조마을 생태계 조성, IoTSW 기반 미래농업 지역특화 벤처 육성, 창조역량 증대를 위한 아이디어 사업화 지원을 중점 추진해 나갈 계획임

 

ICT 기반 창조마을 생태계 조성

 

(개요) 스마트 보급 확대, 스마트 로컬푸드 활성화, 세종형 창조마을 모델인 두레 농장 조성확대 등을 통해 2017년까지 ICT 기반 창조마을 모델을 전국에 확산하는 기반을 구축 계획임

 

(스마트 보급 확대) 현재까지 세종시 105 농가 139 농가* 스마트 팜을 보급하였고, 향후 2016 상반기 중에 SK에서 대표 농가(Flag-ship) 선정하여 스마트 팜을 추가 보급 계획임

 

* 세종 105, 경북 18, 충남 16

 

(농사직설 사업)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인 맞춤형 농업정보를 제공하는 新농사직설 사업을 올해 9 15 토마토 재배농가에 시범 적용한 운영성과 평가(2016) 거쳐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확대 계획임

 

(스마트 로컬푸드 활성화) ICT 기술을 활용하여 농가에 기획생산-유통-판매 全과정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스마트 로컬푸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올해 6 세종시 농업회사법인(로컬푸드()) 설립하고 9월에는 세종에 직매장을 개설하였음

 

향후 다양한 농산물이 연중 생산공급될 있도록 생산자 작부체계 구축, 홍보판로개척 등을 집중 지원 계획임

 

(두레 농장 조성확대) 올해 10월까지 세종형 창조마을의 모델인 두레 농장 조성을 완료 운영성과 평가(2016) 거처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확대 계획임

IoTSW 기반 농업 지역특화 벤처 육성

 

(IoTSW 기반 농업벤처 육성) 올해 6 스마트 농업기술의 개발과 테스트를 지원하기 위해 농업 IoT 랩을 구축하였고, 올해 8월부터는 농림부와 함께 농업벤처 발굴 공모전을 진행*하고 있음

 

* 농림부 : 76건을 접수받아 5개팀 선정 / SK : 76건을 접수받아 선정

 

올해 9월부터 농업분야에 특화된 세종-강원-전남 센터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지원을 본격화할 계획임

 

이를 통해, 2017년까지 농업벤처 25개사를 발굴육성 계획임

 

(여성 지역특화 스타트업 육성) 올해 9월부터 세종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여성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창업 교육, 아이디어 공모전 등을 지원하는 창업 여풍 프로젝트 추진 계획임

 

또한, 올해 9부터는 뷰티웰빙 세종에 특화된 산업 분야의 창업, 내년부터 공무원군인 퇴직자 은퇴한 전문인력의 창업 본격 지원할 계획임

 

이를 통해, 2017년까지 여성지역특화 벤처 25개사를 육성 계획임

 

창조역량 증대 위한 인프라 구축

 

(창조 세종 프로젝트) 세종에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고 창업 여건을 조성하는 창조 세종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2017년까지 학생, 주부 창업이 힘든 계층의 아이디어 발굴과 사업화를 50 이상 지원 계획임

 

이를 위해, 올해 6 스마트 러닝 인프라(박스쿨) 설치하고 8월부터는 시범교육을 실시*하고 있음

 

* 초등생 대상 로봇 기반 코딩 교육(703), 창의력 증대교육(322), 로봇 코딩 교원 양성 교육(58)

 

향후 다양한 계층에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제공하고, 이들의 네트워킹(창조사랑방) 아이디어 사업화(창업실험실) 공간을 제공 계획임

 

미래창조과학부 민관합동창조경제추진단

IP : 172.25.10.***
QRcode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