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137.1억불, 61.4억불 흑자 - 반도체는 지속적인 수출 증가, 휴대폰은 3개월 만에 수출 감소 - □ 7월 정보통신기술(이하, ‘ICT’) 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3.9% 감소한 137.1억불, 수입은 5.8% 증가한 75.7억불로 무역수지는 61.4억불 흑자 기록 o 주요 선진국과 비교할 때 한국의 ICT 수출은 선방하고 있으나, ICT 교역 둔화*와 성장률 전망치 하락** 등 대외 여건 악화가 지속되고 있음 * ‘15.1분기 주요국 ICT 수출 증감률(UN) : 한국 △0.3%, 중국 2.3%, 미국 △1.1%, 일본 △3.4%, 독일 △10.6%, 영국 △11.7% ** ‘15년 ICT 성장률 전망치(Gartner) : ‘14.3분기 3.9% → ‘15.1분기 △1.3% → ‘15.2분기 △5.5% □ ICT 수출은 4월 이후 3개월 만에 감소(5월 2.0%, 6월 0.2%, 7월 △3.9%) o (품목별) 반도체(51.4억불, 6.2%↑)는 증가하였으나, 디스플레이 패널(21.0억불, △15.1%), 휴대폰(19.4억불, △16.0%), 컴퓨터 및 주변기기(4.6억불, △13.2%), 디지털 티브이(이하, ‘D-TV’ / 5.2억불, △25.4%)는 감소 - 반도체는 D램 단가 하락과 낸드플래시의 에스에스디(SSD : Solid State Disk) 형태 수출 전환으로 메모리반도체 수출은 소폭 감소한 반면, 모바일용 반도체의 후공정 수출 물량 증가로 시스템반도체는 약 20% 증가 - 디스플레이 패널은 해외생산 확대와 중소형 패널 단가하락으로 수출 감소 - 휴대폰은 애플, 샤오미 등 글로벌 경쟁 심화와 해외 생산 확대로 완제품을 중심으로 수출이 감소(부분품 수출은 증가 : 12.7억불, 6.0%↑) - 컴퓨터 및 주변기기는 개인용 컴퓨터를 중심으로 컴퓨터 수출이 증가한 반면, SSD 등 보조기억장치 부진에 따른 주변기기 수출 감소로 2월 이후 5개월 만에 수출이 감소세로 전환 o (지역별) 중국 등 아시아권은 증가하고, 미국․유럽연합 수출은 감소 - 수출 상위 1, 2위 지역이자 국내 업체의 주요 생산 거점인 중국(홍콩 포함, 72.4억불, 4.4%↑), 아세안(ASEAN : 20.9억불, 25.8%↑)은 휴대폰 부분품, 반도체 등 부품을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 - 미국(13.2억불, △15.5%)은 반도체(2.7억불, 13.0%↑), 컴퓨터 및 주변기기(1.0억불, 19.5%↑)는 증가했으나, 휴대폰(4.8억불, △35.8%)이 감소하며 수출이 감소 - 유럽연합(EU : 8.3억불, △27.9%)은 경기 부진과 유로화 약세로 디스플레이 패널, D-TV 등 ICT 품목 전반에서 수출이 감소 □ ICT 수입은 6월 감소 이후 증가세로 전환(5월 1.2% → 6월 △2.3% → 7월 5.8%) o (품목별) 휴대폰(6.2억불, 37.5%↑), 반도체(32.8억불, 5.9%↑), 디스플레이 패널(5.9억불, 20.3%↑)은 증가, 컴퓨터 및 주변기기(7.4억불, △1.5%)는 감소 - 휴대폰은 아이폰 등 외산 스마트폰과 휴대폰 부품의 해외 역수입 물량이 증가하면서 수입이 크게 증가 - 반도체는 시스템 반도체 및 다중칩패키지(Multi Chip Package), D램 후공정 물량을 중심으로 수입이 증가 o (지역별) 중국(홍콩 포함, 26.3억불, 2.0%↑), 미국(7.2억불, 6.5%↑), 대만(10.4억불, 4.8%↑)은 증가한 반면, 일본(8.5억불, △2.6%), 유럽연합(4.8억불, △21.0%), 아세안(11.4억불, △3.9%)은 수입이 감소 - 중국(홍콩 포함)은 반도체(6.8억불, △4.9%), 컴퓨터 및 주변기기(4.1억불, △6.7%)가 감소했으나, 디스플레이 패널(3.3억불, 24.6%↑), 휴대폰(아이폰 등, 4.1억불, 24.1%↑)은 증가 - 미국은 반도체(3.5억불, 4.0%↑), 디스플레이 패널(0.3억불, 31.1%↑), 컴퓨터 및 주변기기(0.5억불, 13.6%↑)를 중심으로 수입이 증가 - 아세안은 싱가포르 등을 통해 수입되던 모바일AP 등 시스템 반도체를 국내 업체의 자체 생산으로 전환함에 따라 반도체(5.2억불, △26.6%)를 중심으로 수입이 감소 □ ‘15.7월 ICT 수지는 반도체, 휴대폰, 디스플레이 패널 등 주력품목의 흑자로 61.4억불 흑자를 기록, 전체 수지 흑자달성(77.6억불)에 기여 o 중국(홍콩 포함, 46.1억불, 최대 흑자국), 유럽연합(3.6억불), 미국(5.9억불)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ICT 무역수지 흑자 기조를 지속하고 있으며, - 일본에 대해서는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4.6억불 적자) 미래창조과학부 정보통신정책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