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E 통합지원센터

핵융합·플라즈마 관련 중소기업 기술지원을 위한 혁신성장 플랫폼입니다

기업맞춤형 기술지원, 정책뉴스, 지원사업소개, 유망기술 제공 등
다양한 기업지원 정보제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중소기업뉴스
[과학기술·R&D] 정부 R&D 경제혁신과 미래성장동력창출에 중점지원
이름 : ACE | 작성일 : 2015.07.14 15:30 |

내년도 연구개발(R&D),

경제혁신과 미래성장동력 창출에 중점 지원

 

- 감염병 예방, 재난재해 대응 안전 분야 투자도 확대

 

 

 

 

 

 

 

 

정부는 내년에 12 6,380억원 주요 정부연구개발사업(R&D)* 투자 경제혁신 미래성장동력 창출 우선적으로 집중 지원하,

국민적 관심이 높은 감염병 대응 연구 재난재해로부터의 안전확보 분야에 투자를 확대하기로 했다.

 

* 기초원천·응용개발 과학기술 연구개발, 출연()·국공립연구소 주요사업비 주요연구개발 사업 19 부처 373개사업(’16)

 

 

또한, 중소·중견기업이 역동적 혁신경제의 주역이 있도록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의 역량강화 연구개발(R&D) 확대하는 ,

 

기초과학 연구자들이 창의적이고 안정적인 연구를 수행할 도록 개인·집단기초연구에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같은 내용을 담은2016년도 정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마련하여 7.10() 개최된 9 국가과학기술심의회(공동위원장: 국무총리, 이장무 서울 총장) 거쳐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배분조정() 마련을 위해 미래부는 지난 3, 기업대학출연() 연구자 전문가, 일반국민으로부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연구개발(R&D) 예산 배분조정의 가이드라인이 되는2016년도 정부연구개발투자 방향 기준 마련제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부처가 신청한 예산요구에 대해 전문가 구성된 6 기술분야별 전문위원회* 심층 검토 거쳐 최종안을 마련하였.

* 6 전문위원회 : 공공우주/에너지환경/기계소재/ICT융합/생명의료/기초기반 전문위원회

 

【’16년도 정부연구개발(R&D) 중점투자분야】

 

첫째, 경제성장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위해 주력산업의 체질을 혁신하고, 경제의 역동성을 견인하는데 투자를 강화한다.

 

중소기업 기술혁신, 스마트 공장 확산 제조업 혁신으로 역동 혁신경제를 달성하는 기틀 마련에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중소기업이 역동적 혁신경제의 주역 있도록 투자 규모 수혜기업 수를 확대하고, 생산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 첨단기술을 접목함으로써 부가가치를 제공하는 제조업 혁신 지원을 강화한다.

 

중소중견기업 지원 비중(%) : (’14) 16.8 (’15) 17.9 (’16) 18.0%(예정)

중소기업 지원 저변확대형 연구개발 : (’15) 3,711 (’16) 6,341억원 (70.9% )

제조업 스마트화 : (’15) 879 (’16) 1,024억원 (16.6% )

5세대(5G) 이동통신, 스마트자동차 조기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미래성장동력 분야 비롯하여 에너지 신산업 창출 위한 태양전지, 수소 에너지원 다변화 연구개발에도 투자를 확대한다.

 

미래성장동력 관련 연구개발(R&D) : (’15) 10,530 (’16) 11,423억원 (8.5% )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문화·서비스산업 육성 글로벌 신시장 진출의 잠재력이 높은 유망 바이오분야에도 전략 투자를 강화할 예정이다.

 

문화콘텐츠 분야 연구개발(R&D) : (’15) 1,301 (’16) 1,372억원 (5.5 % )

바이오 미래전략(신약/의료기기) 실행 사업 : (’15) 5,666 (’16) 5,987억원 (5.6% )

또한, 현장 수요 기반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수요자 중심의 연구성과 사업을 일원화함으로써 범부처 연구개발(R&D)성과 사업화를 촉진 계획이다.

() 기업선정 () 공공연구소 매칭* 활성화하여 현장수요에 기반한 연구개발을 촉진한다.

 

* () 기업선정 - () 공공연구소 매칭 전환 금액 : (’16) 2,781억원

기술사업화 관련사업의 통합연계 원활한 기술이전 지원하고, 기업의 사업화 애로요인을 해소하는 지원 활동도 강화해 나간다.

 

공공연구성과기술사업화지원 : (’15) 302 (’16) 379억원 (25.2% )

둘째, 국민적 관심과 요구가 많은 국민안전·행복 실현 위해 감염병 예방과 재난재해 대응관련 연구 지원에 투자를 확대한다.

먹거리 안전 확보하고 질병 예방 생활환경오염 대응 기술개발 등을 통해 국민 삶의 질을 개선하도록 한다.

 

건강식품 원료 등에 대한 안전평가기술 개발 생명공학기술(BT)-정보통신기술(ICT) 융합기술 기반 손쉬운 건강 진단기기 등의 개발 지원을 강화한다.

 

식품안전 확보 연구개발(R&D) : (’15) 652 (’16) 684억원 (4.9% )

의료기기 연구개발(R&D) : (’15) 1,649 (’16) 1,779억원 (7.9% )

생활환경 유해인자 규명하고 위해성 저감하는 연구에 중점 지원하고 대기수질 환경오염 대응 기술에도 지속 투자한다.

 

생활환경 개선 연구개발(R&D) : (’15) 515 (’16) 539억원 (4.7% )

 

식량안보와 기후변화, 고령화 사회 미래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연구개발(R&D) 지원을 강화하여 지속가능한 사회 실현한다.

 

시장개방에 대응하여 신품종 개발 연안어업분야에 중점 투자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온실가스 저감 연구개발(R&D)에도 적극 투자한다.

 

식량안보 분야 연구개발(R&D) : (’15) 1,663 (’16) 1,668억원 (0.3% )

기후변화 대응 관련 연구개발(R&D) : (’15) 2,544 (’16) 2,567억원 (0.9% )

 

초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치매뇌혈관 장애 극복기술 선진화된 수자원 확보관리 시스템 물환경 관리 기술에도 지속으로 투자할 계획이다.

 

고령화 대비 연구개발(R&D) : (’15) 441 (’16) 528억원 (19.8% )

 

개인정보 보호와 사이버 보안 강화하고, 대형화복합화되는 난재해 대응 통해 국민이 체감하는 안전사회 구현 위해 량을 집중한다.

 

다양한 정보통신기술(ICT)융합 서비스 등장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보호 신기술을 확보하고, 인체 감염병 대한 신속한 위기대응 역량 강화한다.

 

정보보호핵심원천기술개발 : (’15) 299 (’16) 412억원 (37.7% )

인체 감염병 연구개발(R&D) : (’15) 472 (’16) 610억원 (29.4% )

 

셋째, 과학기술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초연구 지원을 강화하고 과학기술기반 혁신 융합연구 촉진에도 역량을 모으기로 .

창의적 기초연구 진흥을 위해 기초연구사업을 확대하는 한편, 미래부 개인기초사업을 통합하고(신진중견리더), 미래부-교육부 기초연구사업을 공동 연계하여 시행하는 수요자 중심의 제도 개선*에도 박차를 가한다.

* 공동 시행계획 수립, 통합 공고, 선정평가 연계, 규정서식 표준화 개선

기초연구(개인, 집단, 기초과학연구원) 지원 : (’15) 12,775 (’16) 13,226억원 (3.5% )

 

출연연구원의 전략적 융합연구 촉진 위해 연구회 융합연구사업에도 투자를 확대한다.

 

출연() 융합연구사업 : (’15) 1,032 (’16) 1,207억원 (17.0% )

 

기술분야 고급인력 양성 확대 지원하고, 과학기술 인프라 안정적 구축과 우주 사업이 적기에 추진되도록 지원한다.

 

과학벨트 중이온가속기 인프라의 안정적 구축 발사체, 위성, 달탐사 대형 우주 사업 적기에 추진되도록 뒷받침한다.

 

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사업 : (’15) 2,170 (’16) 2,466억원 (13.6% )

우주 분야 연구개발(R&D) : (’15) 5,125 (’16) 5,726억원 (11.7% )

 

민군기술 협력 활성화를 도모하고 부처 협업전략적 국제협력연구 지원을 통해 국내 연구역량 강화에도 힘을 쏟는다.

 

민군 기술이전 민군 협력 지원 사업을 확대하고, 성과창출 가속화를 위해 다부처 공동사업의 적기 추진 지원한다.

민군협력 분야 연구개발(R&D) : (’15) 815 (’16) 1,478 (81.2% )

 

국내 연구개발(R&D) 역량을 제고 위한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시장 수요 기반형 연구 위해 출연() 민간수탁 실적에 연계한 사업 지원한다.

국제협력 분야 연구개발(R&D) : (’15) 958 (’16) 1,074 (12.1%)

출연() 민간수탁 활성화지원(6 기관, 신규) : (’16) 192 (순증)

이번 정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과정에서는 지난 5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확정된 정부R&D 혁신방안 차질없는 이행 뒷받침하기 위해,

 

부처가 사업 집행 제도개선* 필요한 사항을 조기 이행 있도록 관련 예산을 ()반영하였다.

* 중소·중견기업 중심의 상용화 연구, 융합연구단 확대, 중기청 저변확대사업 비중 확대

 

이와 함께 연구개발(R&D) 투자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장기계속사업 일몰제 도입, 성과부진 사업의 효율화 등을 통해 절감재원을 마련하여 이를 주요정책과 중점 추진분야 재투자하였다.

 

최종배 미래부 창조경제조정관 내년도 정부연구개발(R&D) 예산은 어려운 재원여건 에서도 경제 활력 제고하고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전략적 투자를 강화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강조하면서,

 

과감하고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 효율화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책임성을 강화함으로써, 역동적인 혁신경제가 실현 있도록 주요 정책에 중점 투자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국과심 심의를 통해 확정된 2016년도 정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기획재정부에 통보되고, 기재부는 국방·인문사회 연구개발(R&D) 등의 예산 배분·조정() 함께 내년 정부예산()으로 확정하여 9.11 국회에 송부할 예정이다.

 

미래창조과학부 연구예산총괄과

IP : 172.25.10.***
QRcode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