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E 통합지원센터

핵융합·플라즈마 관련 중소기업 기술지원을 위한 혁신성장 플랫폼입니다

기업맞춤형 기술지원, 정책뉴스, 지원사업소개, 유망기술 제공 등
다양한 기업지원 정보제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중소기업뉴스
미래창조과학부, '15년 5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입 동향
이름 : ACE | 작성일 : 2015.06.15 17:37 |

5 정보통신기술(이하, ICT) 수출 142.8억불, 74.3억불 흑자

- 전체 산업 수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ICT 수출 증가세로 전환 -

 

5 ICT 수출 전년 동월대비 2.0% 증가한 142.8억불, 수입 1.2% 증가한 68.4억불 무역수지 74.3억불 흑자 달성

 

o 세계 ICT 시장의 역성장 전망(15 전망치 : 1.3% / 가트너) 5 전체 수출의 감소(전년 동월대비 10.9%)에도 불구하고,

 

o 휴대폰, 시스템반도체 주력 품목의 수출이 증가하였으며, ICT 무역수지도 올해 들어 처음 70억불대 흑자를 회복

 

EMB0000274446b8 EMB0000274446b9

< 전체 ICT 수출 증가율(%) >

< ICT 무역 수지 추이(단위 : 억불) >

 

ICT 수출은 15.1 이후 4개월 만에 증가세를 회복

 

o (품목별) 휴대폰(27.4억불, 26.6%), 반도체(51.2억불, 4.3%), 컴퓨터 주변기기(5.9억불, 9.4%) 수출이 증가하였으나, 디스플레이 패널(22.0억불, 4.8%), 디지털 티브이(이하, D-TV / 3.2억불, 46.5%) 감소

- 휴대폰 국내 기업의 전략 스마트폰(갤럭시S6, G4) 출시 부분품 수출 증가 전년 동월대비 자릿수 성장세(26.6%) 기록

 

- 반도체는 D 단가 하락과 낸드플래시의 에스에스디(SSD : Solid State Disk) 형태 수출 전환으로 메모리 반도체 수출이 감소(3.9%) 반면, 모바일용 반도체의 후공정 수출 물량 증가로 시스템반도체 수출은 20% 이상 증가

 

- 컴퓨터 주변기기 차세대 저장장치(SSD : Solid State Disk) 수출 급증 힘입어 3개월 연속 수출 증가(3 27.2%, 4 18.2%, 5 9.4%)

 

- 디스플레이 패널 해외생산 확대 중소형 패널 단가하락으로 수출 감소

 

o (지역별) 선진국 수출은 감소하고, 중국 아시아권 수출은 증가

 

- 미국(15.2억불, 3.4%) 휴대폰(6.9억불, 9.2%) D-TV(0.1억불, 42.1%) 완제품을 중심으로 수출이 감소

 

- 유럽연합(EU : 7.9억불, 17.5%) 경기 부진과 유로화 약세로 반도체디스플레이 패널 품목 전반의 수출 감소 기록

- 최대 수출 지역인 중국(홍콩 포함, 74.5억불, 5.8%), 아세안(ASEAN : 21.0억불, 29.7%) 휴대폰 부분품, 반도체 부품을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

 

ICT 수입은 전년 동월대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o (품목별) 디스플레이 패널(3.5억불, 28.8%) 감소했으나, 휴대폰(7.8억불, 34.6%), 반도체(28.9억불, 9.5%) 등이 수입 증가를 주도

 

- 휴대폰은 아이폰 외산 스마트폰과 휴대폰 부품(OLED, 터치패널 ) 해외 역수입 물량이 증가하면서 수입이 크게 증가

 

- 반도체 시스템 반도체 수입 해외에서 생산된 낸드플래시 후공정 처리를 위한 역수입 물량 확대 수입이 증가

 

- 디스플레이 패널은 중국 현지생산 강화로 부분품을 중심으로 수입 감소

 

o (지역별) 중국(홍콩 포함, 25.3억불, 6.1%), 아세안(9.6억불, 2.1%), 유럽 (4.2억불, 17.8%) 등은 줄어든 반면, 미국(6.5억불, 14.4%) 수입은 증가

- 중국(홍콩 포함) 반도체(6.4억불, 8.0%), 휴대폰(5.7억불, 16.6%) 증가했으나, 디스플레이 패널(1.8억불, 37.7%) 현지 생산 체제 강화(국내 업체 역수입 감소), 컴퓨터 주변기기(3.8억불, 13.6%) 수입 감소로 하락

 

- ASEAN 싱가포르 등을 통해 수입되던 모바일AP 시스템 반도체를 국내 업체의 자체 생산으로 전환함에 따라 반도체(4.2억불, 25.2%) 중심으로 수입이 감소

 

- 미국은 반도체(3.1억불, 27.5%, 국내 업체의 후공정을 위한 역수입 물량), 의료정밀기기(1.5억불, 2.4%), 디스플레이 패널(0.3억불, 13.0%) 중심으로 수입이 증가

 

ICT 수지는 반도체, 휴대폰, 디스플레이 패널 주력품목의 흑자로 74.3억불 흑자를 기록, 전체 수지 흑자달성(63.2억불) 기여

EMB0000274446bb EMB0000274446bc

< ICT수지 추이(억불) >

< 전체 산업 수지 추이(억불) >

 

o 중국(홍콩 포함, 49.2억불, 최대 흑자국), 유럽(3.7억불), 미국(8.7억불)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ICT 무역수지 흑자 기조 지속하고 있으나,

 

- 일본(1.8억불) 대해서는 무역수지 적자 기록

 

ICT산업 전체 산업 수출입 동향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대비)

 

 


2015

2014

5P

15P

5

15

수출

전체 산업

423.9

(10.9)

2,221.0

(5.6)

475.8

(1.5)

2,353.8

(2.4)

ICT

142.8

(2.0)

696.6

(0.3)

139.9

(7.6)

698.7

(2.8)

수입

전체 산업

360.7

(15.3)

1,856.1

(16.0)

426.1

(0.5)

2,208.5

(2.4)

ICT

68.4

(1.2)

366.9

(5.5)

67.6

(1.7)

347.8

(5.8)

무역수지

전체 산업

63.2

364.9

49.7

145.3

ICT

74.3

329.6

72.3

350.9

첨부 : 동향 세부자료

 

출처 : 미래창조과학부

IP : 172.25.10.***
QRcode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