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영국과 원자력시설 제염·해체분야 공동연구 추진 미래창조과학부는 원자력시설 해체 선진기술 확보를 위해 영국과의 '원자력시설 제염·해체분야 공동연구'를 본격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연구를 위해 미래부와 영국의 공학 및 자연과학 연구위원회(EPSRC)는 지난 10일 영국 스윈든에서 전문가 평가 및 사업운영위원회를 개최했으며, 연구과제 5개를 선정했다.
이번에 선정된 과제는 접근이 어려운 원전 해체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첨단 로봇, 사용후핵연료 재활용 단계에서 발생하는 장반감기 방사성 핵종 처리 기술 등 5개 과제로, 난접근지역 오염물질 회수 로봇 핵심기술개발 과제는 영국이 가진 방사능 지역에서의 로봇 활용 해체 실증 경험 등을 우리나라에 도입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평가된다. 5개 과제는 오는 4월부터 본격 착수되는데 양국은 3년간 총 67억원(한국 30억원, 영국 220만파운드)을 지원할 계획이다.
최근 원자력 선진국들은 무한한 경제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원전해체 시장에 주목하고 있으며, 현재 전 세계 원전 548기 중 149기 원전이 영구 정지되었고, 이중 19기만이 시설해체가 완료된 상태이다.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해체기반 기술 수준은 미․일․독 등 선진국과 비교하면 약 70%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미래부는 "영국이 원자력제염․해체 분야에서 세계 상위 수준의 기술을 보유한 나라인 만큼 이번 영국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원전해체 선진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확정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 2013년 11월 박근혜 대통령의 영국 방문 시 양국이 원자력에너지 연구개발 분야에서 파트너십을 확대하기로 하고, 미래부와 영국의 에너지기후변화부가'원자력시설 해체기술 공동연구를 위한 MOU'를 체결한 데에 따른 것이다. 출처 :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5031610435368304&outlink=1 최광 기자 hollim324@mt.co.kr | |
IP : 172.25.9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