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올해 국내 원자력분야의 대표적인 연구개발사업인 원자력연구개발사업에 총 3146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2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대비 7.7% 증가한 수치다.
올 예산은 원자력기술개발사업 1320억원을 비롯해 △방사선기술개발사업 424억원 △중소형원자로(SMART) 안전성 강화 93억원 △수출용 신형연구로 개발·실증 547억원 등 12개 단위사업 추진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
먼저 원자력기술개발사업을 통해서는 원전에 대한 국민 불안 해소를 위해 극한상황에서도 원전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세계 최고수준의 안전연구 역량을 강화한다. 또 원자력 이용현안인 사용후핵연료 관리의 기술적 해결(안전성·경제성 확보)을 위해 사용후핵연료 건식재처리(파이로프로세싱) 기술과 연계한 소듐냉각고속로개발 등 미래 원자력 핵심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사용후핵연료 건식재처리기술은 사용후핵연료 95%를 재활용하면서 순수 플루토늄을 추출할 수 없기 때문에 핵확산에 대한 우려가 적은 핵심기술이다. 올해는 국내에서 모의실험시설을 통한 실증연구와 미국에서 실제 사용후핵연료를 분리·실증하는 연구를 강화한다. 아울러 국내 장기 가동원전의 폐로에 대비하고 해외 해체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원전 제염‧해체 핵심기술 개발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창조경제 실현계획에 따라 원자력분야 고부가가치의 방사선 산업 육성 등을 통한 미래 유망 신산업도 적극 발굴‧육성한다. 방사선융합기술과 방사선의학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방사선 기술의 산업화를 위해 기업수요 중심의 연구개발 지원을 확대한다. 또 세계 최초로 표준설계 인가를 획득한 중소형원자로는 완전피동계통 적용 등 안전개념을 확충해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도모할 계획이다.
또한 국내의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수요를 충족하고 연구로기술 수출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수출용신형연구로 건설에 착수한다. 이와 함께 국내 원자력분야의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전략적 연구시설‧장비 구축, 기초연구 지원 확대 및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 등 전반적인 원자력 연구기반을 확충한다. 특히 국내 원자력의 국제력 위상을 제고하고, 원자력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국제적 여건 조성 및 국내 원자력기술의 해외시장 진출 기반 조성을 위한 원자력국제협력기반조성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방사능에 대한 국민 불안감 해소 및 방사능 사고 시 대응을 위해 사회문제해결형 연구개발인 방사능 피해예측 및 저감기술 개발과 국내 방사선기기에 대한 성능평가 및 인증 시험시설 구축사업을 신규사업으로 추진한다. 문해주 미래부 우주원자력정책관은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원자력연구개발사업을 추진했기 때문에 한국형 원전 건설·운영, 아랍에미리트(UAE) 원전과 요르단 연구로 수출에 이은 네덜란드 연구로 개선사업 수주가 가능했으며, 앞으로 국내 경제발전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 http://news1.kr/articles/?2114837js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