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신청을 하시기 전에 사업에 관한 내용을 반드시 숙지하시고, 신청서식을 비롯한 각종 파일을 본문 하단에서 다운받으신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지재권 연계 연구개발 전략지원 사업 (2017년 상반기 IP-R&D 전략지원 사업 시행계획 공고) 사업개요 연구 조직을 보유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특허로 무장한 글로벌 기업 육성과 국가 경쟁력 향상을 위해 지재권전략전문가(PM)와 지재권분석 전문기관이 팀을 구성하여 지재권 연계 연구개발 전략을 수립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연구 조직을 보유한 중소기업 대상 ☞ 지재권전략전문가(PM)와 지재권분석 전문기관이 팀을 구성하여 기업 맞춤형ㆍ밀착형 특허 전략 수립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신청자격 : 연구 조직을 보유한 중소기업 기업구분 | 판단 기준 | 중소기업 | ㅇ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 ※ 중소기업 현황정보시스템(sminfo.smba.go.kr)에서 확인 가능 | 재창업 중소기업 | ㅇ 7년 이내 재창업한 기업(2011년 1월 1일 이후 재창업) - 기본요건 : [참고1]의 기본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기업 - 신청요건 : 사업실패 후 신기술·제품 개발을 준비하는 재창업 중소기업이 아래 요건 중 하나를 충족하는 경우 * 공고 마감일 기준, 창업 및 연구개발과 관련하여 정부로부터 자금을 지원 받고 있는 기업 (단, 대출 사업은 자금 상환 연장 및 유예기간의 경우 제외) * 재창업 기업 대표자가 중소기업청 ‘재도전 중소기업 힐링캠프’(재기중소기업개발원 운영)를 수료한 기업 ※ 세부요건 [참고1] 자료 참조 | ㅇ 지원제외대상 구분 | 신청 및 지원 제외 사항 | 공고내용과의 적합성 | - 신청과제가 본 사업의 기본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 신청과제의 업무범위가 명확하지 않거나, 지나치게 넓은 경우 | 의무사항 불이행 여부 | - 신청기업이 접수마감일 기준 구비서류 미제출한 경우 - 정해진 기한 내 기업 부담금 납부 등의 의무사항을 불이행한 경우 | 참여제한 여부 | - 신청기업이 접수마감일 기준 국가 연구개발 사업 참여제한 중인 경우 - 신청기업이 직전 4개년 간 5회 이상 본 사업에 참여한 경우 | 채무불이행 부실위험 여부 | - 기업이 부도 또는 휴·폐업 상태인 경우 - 국세·지방세 체납 또는 금융기관으로부터 채무불이행이 확인된 경우 (재창업 기업은 제외) - 기업이 자본전액잠식 상태인 경우 - 최근년도 결산감사 의견이 “의견거절” 또는 “부적정”인 경우 | 지원조건 및 내용ㅇ 지원 방식 : 한국지식재산전략원 소속 지재권전략전문가(PM)와 지재권분석 전문기관이 팀을 구성하여 기업에 맞춤형‧밀착형 특허 전략 수립을 지원 ㅇ 사업 결과물 : 특허·논문 분석자료, 환경(시장 등) 분석자료, 핵심특허 요지 리스트, 핵심특허 대응전략 보고서, 지재권 포트폴리오, 유망 R&D과제 도출, 분석특허 DB 등 ※ 지원 절차 및 결과물은 과제 유형 및 기업 니즈에 따라 일부 상이할 수 있습니다. ㅇ 지원유형 및 기간, 지원규모 과제 유형 | 기간 | 지원규모 | 지원내용 | 비고 | 일반 | 컨소시엄 | 기술선도형 | 20주 (5月) | OO개 | 개발제품ᐧ서비스ᐧ기술의 관련 분야 IP‧기술‧비지니스모델‧시장 정보 분석을 통해 구체적 R&D방향, 핵심특허 선제대응, 강한 IP 선점 및 포트폴리오 구축, 라이센스 전략 등 종합적 IP-R&D 전략 지원 | ◎ | ◎ | | 계속 과제 | 12주 (3月) | O개 | 기 지원 과제(5개월)에 대해 전략 이행 점검 및 R&D 추진 상황에 맞는 기술구체화 및 그에 따른 IP 권리화, 밸류-업, 해외시장 진출전략 등 보강전략 추가 제공 | | ◎ | 기술도약형 | 12주 (3月) | OO개 | 선도사 및 경쟁사의 기술 및 IP 분석을 통해 핵심특허 선제대응, 회피 설계 등을 통한 R&D 방향 및 대응 IP 창출 전략 수립 | ◎ | ◎ | | 재창업 | 12주 (3月) | O개 | 재기 위한 핵심특허 창출 및 대응 전략 등 재창업 기업 맞춤형 특허 전략지원 | ◎ | | IP 융복합 | IP 선도형 | 20주 (5月) | O개 | 제품이 추구하는 컨셉과 시장 요구 및 특허의 병행 분석을 통해 제품 디자인을 설계, 디자인 중심의 R&D 전략을 수립하여 디자인‧특허 창출 전략 제시 | ◎ | | IP 도약형 | 12주 (3月) | O개 | 디자인과 특허 분석을 통해 제품 디자인 개발전략과 특허 전략을 수립하고, 디자인 중심으로 디자인‧특허 확보 전략 제시 | ◎ | |
※ [’17년 중점 지원 분야]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분야(참고 5), ICT 등을 활용한 서비스 R&D 과제(비즈니스 모델(BM), 사용자경험(UX) 등 포함) 및 중국진출 관련 중국 특화 과제를 중점 지원 예정 ㅇ 과제유형별 기업부담금 기준 과제 유형 | 수행 기간 | 과제단가 (백만원) | 기업부담금 (단위 : 백만원) | 소기업 | 중기업 | 현금 | 현물 | 현금 | 현물 | 기술선도형 | 20주(5개월) | 100 | 14 | 6 | 20 | 10 | | 계속과제 | 12주(3개월) | 30 | 4 | 2 | 6 | 3 | 기술도약형 | 12주(3개월) | 60 | 8 | 4 | 11 | 7 | | 재창업 | 12주(3개월) | 60 | 4 | 2 | - | - | IP 융복합 | IP 선도형 | 20주(5개월) | 120 | 17 | 7 | 23 | 13 | IP 도약형 | 12주(3개월) | 72 | 10 | 4 | 14 | 8 |
ㅇ 컨소시엄 과제 운영 - 기업과 협력기관이 사전에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공동으로 과제를 신청하고 현장실사와 평가를 거쳐 선정되는 방식 - 선정 규모 : 과제 규모의 최대 15% * 단, 계속과제는 컨소시엄 100%, IP융복합 및 재창업 과제유형은 컨소시엄 신청 불가 * 컨소시엄 과제의 경우 기업에서 보안상 중요한 이슈가 있어 신청하는 유형이기 때문에 일반 과제 유형에 동일한 과제(기술)명으로 복수 신청이 제한됨 - 신청 자격 : 컨소시엄의 당위성이 높은 참여 기업에 적용하되, 아래 요건 모두에 해당하는 경우 ① 신청기업 또는 협력기관 중 한 개 기관이라도 IP-R&D 사업에 참여 경험이 있는 경우(과거 IP-R&D 사업 계약서 제출) ② 신청기업과 협력기관이 상호 업무 협력관계가 있는 경우(IP-R&D 사업 신청 전 출원, IP분석 등 협업관계를 증명 할 수 있는 공식문서 증빙 제출) ③ 기술보안 이슈 등으로 컨소시엄 형태로의 추진이 불가피한 과제(동종업계 분쟁 여부, 특정 경쟁사 존재, 비밀유지계약 체결, 기술 전문성 등) ㅇ 사업설명회 - 개최일시 및 장소 개최일시 | 지역 | 개최장소 | 주소 | ’16.12.22.(목) | 15:00 ~ 17:00 | 서울(강남구) | 포스코 P&S 3층 이벤트홀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 ’17.1.3.(화) | 부산(사하구) | 동아대학교 승학캠퍼스 대학본부 9층 901-1호 |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550번길 37 | ’17.1.3.(화) | 광주(북구) | 광주테크노파크 본부동 2층 제2회의실 |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 과기로 333 | ’17.1.4.(수) | 대전(유성구) | 대덕테크비즈센터(TBC) 1층 콜라보홀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593(도룡동 386-2) | ’17.1.5.(목) | 대구(북구)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5층 1세미나실 | 대구광역시 북구 노원로 77 | ’17.1.5.(목) | 충북(청주시) | 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 1층 대회의실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각리1길 97 | ’17.1.6.(금) | 서울(구로구) | 키콕스벤처센터 3층 대회의실 |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디지털3길 3층 | ’17.1.10.(화) | 경기(시흥시) | 시흥산업진흥원 2층 중회의실 | 경기도 시흥시 산기대학로 237 시흥비즈니스센터 | ’17.1.10.(화) | 강원(원주시) | 한국산업단지공단 강원본부 1층 회의실 |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 북원로 1397 |
※ [2017년 정부 R&D 사업 부처 합동설명회]에서도 특허청 사업으로 설명 예정 지원절차 | 사업신청·접수 | → | 기업 선정 평가 | → | 최종선정 | | | | | | | → | 전자 계약체결 | → | 기업 부담금 납부 | → | 협력기관 선정 공고 | | | | | | | → | 협력기관 선정 평가 | → | IP-R&D 전략수립 지원 | → | 사후관리 |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온라인 접수 - 한국지식재산전략원 IP-R&D 사업관리시스템( ippro.kista.re.kr) ㅇ 신청 서류 : 신청서, 발표자료, 참여인력 확인서 및 재직증명서 등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주관기관 | 한국지식재산전략원 | 담당부서 | 중소기업팀 |
---|
전화번호 | 02-3287-4253 | 홈페이지URL | http://www.kista.re.kr/ |
---|
담당자명 | 사업담당자 |
---|
담당자 이메일 | ippro@kista.re.kr |
---|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접수기관 | 한국지식재산전략원 | 담당부서 | 중소기업팀 |
---|
전화번호 | 02-3287-4253 | 홈페이지URL | http://www.kista.re.kr/ |
---|
담당자명 | 사업담당자 |
---|
담당자 이메일 | ippro@kista.re.kr |
---|
기타사항문의처 구분 | 담당기관 | 연락처 | 이메일 | 내용 | 시행부처 | 특허청(산업재산창출전략팀) | 042-481-8184 | - | 시행계획 등 | 관리기관 | 한국지식재산전략원 (중소기업팀) | 02-3287-4253, 4362 | ippro@kista.re.kr | 신청ㆍ접수, 사업신청서 작성, 선정평가, 유의사항 등 | 02-3287-4399, 4254 | 사업관리시스템 기관등록, 회원가입, 서류제출 등 |
| |
IP : 172.25.1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