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E 통합지원센터

핵융합·플라즈마 관련 중소기업 기술지원을 위한 혁신성장 플랫폼입니다

기업맞춤형 기술지원, 정책뉴스, 지원사업소개, 유망기술 제공 등
다양한 기업지원 정보제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동향정보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 창업 초기 자금 "크라우드 펀딩"을 활용하자!"
이름 : ACE | 작성일 : 2015.08.19 10:09 |

창업 초기 자금 크라우드펀딩(Crowdfunding)”을 활용하자!

 

-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 산업은행 박홍석 대리

 

지난 722일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을 계기로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출범이 마무리 되었다. 창조경제혁신센터에 근무하다보면 창업초기 자금 조달 문제로 상담을 하러 오는 분들이 많음을 느낀다. 그간 창업 초기 기업들은 담보가 없이는 금융기관의 자금지원을 받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하지만, 최근 언론을 통해 반가운 소식을 들을 수 있었다. 국회에 계류 중이던 크라우드펀딩법안이 지난 76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것이다. 계획대로라면 내년 1월 중에는 법이 시행되어 초기 창업자들이 자금확보에 혜택을 볼 것으로 기대된다.

 

크라우드펀딩정의

그렇다면 크라우드펀딩이란 무엇일까?’하는 의문을 가지게 될 것이다. 크라우드 펀딩은 창의적 아이디어나 사업계획을 가진 기업가 등이 금융기관의 중개 없이 중개업체의 온라인 포털에서 집단지성(The wisdom of Crowds)”을 활용 다수의 소액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다.

 

크라우드펀딩배경 및 내용

크라우드펀딩은 금융위기 이후 은행 등 금융기관이 대출 규모를 축소하는 등 자금 조달이 원활하지 않자 스타트업 벤처나 신생 창업가들에게 새로운 대출 형태로 각광받기 시작했. 즉 모금자가 모금 취지, 목표 금액, 모금 기간, 투자 보상 내용 등을 게시하면 투자자는 이 중 선호하는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방식이다. 목표 금액 달성시 중개기관은 일정 수수료를 제하고 모금자에게 자금을 전달하고, 모금 기간 내에 목표 금액 미달시 투자금은 투자자에게 반환하는 구조이다.

 

크라우드펀딩유형

크라우드펀딩은 후원형, 지분형, 대출형 등 다양한 유형이 있다. 후원형은 예술 창작 활동이나, 영화, 음반제작, 스포츠행사 등에 투자하고 투자자는 금전적 보상 대신 프로젝트와 관련한 기념품 등을 받는 유형이다. 지분형은 기업이 발행하는 프로젝트성 투자 계약 증권에 투자하고 향후 이익을 배분받는 것이고, 대출형은 투자자자가 모금자의 정보를 보고 투자를 결정하며, 중개기관이 채권, 채무 관계를 중재하는 형태이다. 다만 투자에 따른 위험은 전적으로 투자자가 부담하는 방식이다.


크라우드펀딩현황 및 자금조달 구조

크라우드펀딩법안은 앞서 언급한 대로 76일자 국회를 통과하여 20161월 시행을 앞두고 있다. 금융위원회에서는 크라우드펀딩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의하겠다고 발표하였으며, 특히 창조경제혁신센터에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을 구축하여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방문하는 우수 창업자들을 발굴·지원하는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우수한 아이디어를 보유한 창업기업들이 각 혁신센터 내에 구축된 파이낸스 존(Finance zone)을 방문하면, 해당 기업의 아이디어와 사업계획을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에 게재하고, 크라우드펀딩 업체들이 플랫폼에 게재된 아이디어 및 창업계획을 투자자에게 안내 홍보한 후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자금조달을 지원하는 구조이다.

 

크라우드펀딩의 이점 및 기대효과

크라우드펀딩이 합법화 됨으로써 신생 창업기업이 우수한 아이디어만으로도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되어, 창업 및 사업화 기회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경제 활성화 및 청년층 일자리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중소벤처기업이 사업의 성공 가능성을 투자자로부터 검증받고 대규모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며, 투자자에게도 보다 다양한 투자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엔젤투자 등 스타트업 기업에 대한 투자저변 확대 및 자본시장 분야의 집단지성(Big-data)을 활용한 대표적 핀테크(Fintech) 혁신사례로 모험자본 분야의 경쟁과 혁신 주도 효과도 기대된다.

 

      ※ 해외 크라우드펀딩으로 자금을 조달한 리버스사례

미아방지용 스마트밴드 공급업체 리버스14년 미국 크라우드펀딩 중개업체인 인디고고를 통해 43천달러(4,700만원) 등 모집하고, 최근 부족자금 3,300만원은 국내 기부형 크라우드펀딩 와디즈에서 조달함에 따라 향후에는 해외에 나가지 않고 국내에서 자금조달이 가능해지고, 혁신적 기업의 성공의 수익도 국내 투자자들이 향유 가능

 

 

 

출처 : 창조경제혁신센터 자료실(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 전문가 칼럽)

          https://ccei.creativekorea.or.kr/community/data_view.do

IP : 172.25.10.***
QRcode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