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맞춤형 기술지원, 정책뉴스, 지원사업소개, 유망기술 제공 등
다양한 기업지원 정보제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기술명 | (2-11) 대용량 플라즈마 활성수 제조기술 (무자극·무독성·무오존) | ||
---|---|---|---|
기술완성도(TRL) | TRL7 | ||
주발명자 | 홍용철 | ||
출원번호 | 10-2014-0031266 | 출원일 | 2014-03-17 |
등록번호 | 10-1480096 | 등록일 | 2014-12-31 |
연구분야 |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응용기술 개발 | ||
관련 특허번호 |
10-2014-0031266![]() |
||
기술개요 | • 플라즈마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용존수는 뛰어나 살균·소독효과를 가지면서, 인체에 무해하고 잔류 독성의 문제가 없음. • 이 기술은 대기압 내지 대기압 이상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고 플라즈마 활성가스가 반응(용존) 할 수 있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합성방법을 제공함. |
||
기술적 개선점 | • 기존의 전자파 플라즈마 토치를 이용하는 장치들은 플라즈마 발생의 효율 측면에서 운전압력이 대기압 이하에서 반응이 진행되고, 처리용량 및 장치 대형화에 제약이 있어 이를 개선함. • 본 기술의 전자파 플라즈마 장치는 고밀도 및 고온 고압 플라즈마 기술이며, 반응에 필요한 적정 온도 유지, 활성 라디칼 및 이온 생성을 유도하고, 반응(용존) 시간의 단축과 질소산화물 생성의 선택성을 증대시킨 기술임. • 소형화를 기반으로 햇빛, 공기, 물만을 이용하여 질소산화물의 선택성을 증대한 질소산화물 함유수를 제조할 수 있음. |
||
시장전망 | • 전 세계 살균제 시장은 형태별로 구분하여 액상은 2016년 69억 5,020만 달러에서 연평균 4.85%로 증가하여, 2022년에는 92억 3,17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수용성 입자는 2016년 9억 1,000만 달러에서 연평균 4.82%로 증가하여, 2022년에는 12억 3,38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전 세계 살균제 시장은 지역별로 구분하여 유럽지역이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2016년 55억 4,160만 달러에서 연평균 4.43%로 증가하여, 2022년에는 71억 8,58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2016년 29억 3,330만 달러에서 연평균 5.40%로 증가하여, 2022년에는 40억 2,17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
기술사진 및 설명1 |
|
||
기술사진 및 설명2 |
|
||
응용분야 | • 식품, 생활용수 살균·소독 및 시설물, 공간 방역 • 상처치료, 피부미백 등 의료·뷰티 산업 • 대용량·소용량 플라즈마 활성수 및 생장수 |
||
예상설비구축비용 | 설비 및 이전예상소요시간 |
||
참고 자료 |
![]() |
||
기술문의 | 성과확산실 안유섭 042-879-6235, yousub@kfe.r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