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맞춤형 기술지원, 정책뉴스, 지원사업소개, 유망기술 제공 등
다양한 기업지원 정보제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기술명 | (3-4) 비열 플라즈마 활성수와 분무재배용 조성물 | ||
---|---|---|---|
기술완성도(TRL) | TRL3(실험실 규모의 기본성능 검증) | ||
주발명자 | 송종석, 정선경, 지성훈 | ||
출원번호 | 10-2021-0046146 | 출원일 | 2021-04-08 |
등록번호 | 10-2332152 | 등록일 | 2021-11-24 |
연구분야 | 플라즈마 바이오, 식물재배시스템 | ||
관련 특허번호 |
10-2021-0046146![]() |
||
기술개요 | • 본기술은 비열 플라즈마를 처리한 활성수를 포함하는 분무경 재배용 조성물에 관한 것임. • SDBD 전극으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고 이때 생성되는 고농도의 질소산화물 등을 물에 녹여 질산염과 아질산염을 이용하여 식물의 생장 및 기능성 성분을 증진시킬 수 있음. |
||
기술적 개선점 | • 단지 양액을 공급하는 기존기술과 달리, 공기중에 질소를 물에 녹여 질산염 비료를 현장에서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범용적 기술로써, 온실, 식물공장, 가정용 식물재배기 등 다양한 식물재배 환경분야에 확대 적용 가능함. • 다양한 식물에 플라즈마를 처리한 활성수를 적용하여 식물체의 생장을 촉진시키면서 기능성 성분을 증가시키는 맞춤형 기술을 개발하여 차별화된 양액생산 관리기술을 제시함. • 플라즈마를 처리한 활성수를 분무재배 방식으로 새싹인삼에 25일간 처리한 결과, 새싹의 무게 26.5%, 아미노산 함량 27.7%, 진세노사이드 함량 30.0%의 증가를 확인함. |
||
시장전망 | • 2021년 전 세계 스마트팜 시장규모는 148억 달러로 추정되고, 앞으로 지속 증가하여 2025년에는 220억 달러로 연평균 9.8%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 전 세계 스마트팜 시장은 미주와 유럽시장이 각각 42%, 31%로 전체 시장의 73%를 차지하고 있으며, 아시아 및 그 외 지역은 27%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중국, 호주, 인도 등 인구가 급증하는 국가들은 스마트팜의 시장 초기단계에 있으며, 앞으로 아시아 및 그 외 국가에 비해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
||
기술사진 및 설명1 |
|
||
기술사진 및 설명2 |
|
||
응용분야 | • 친환경 식물재배 및 농식품 생산 분야 (대상식물의 재배환경을 고려한 현장 맞춤형 기술) • 온실, 식물공장, 가정용 재배기 등 다양한 식물재배 환경 적용 가능 |
||
예상설비구축비용 | 설비 및 이전예상소요시간 |
||
참고 자료 |
![]() |
||
기술문의 | 성과확산실 안유섭 042-879-6235, yousub@kfe.r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