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맞춤형 기술지원, 정책뉴스, 지원사업소개, 유망기술 제공 등
다양한 기업지원 정보제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기술명 | (3-5) 플라즈마를 이용한 고농도 활성수 및 비료수 제조장치 | ||
---|---|---|---|
기술완성도(TRL) | TRL5 | ||
주발명자 | 홍용철, 신용욱 | ||
출원번호 | 10-2021-0162106 | 출원일 | 2021-11-23 |
등록번호 | 10-2526628 | 등록일 | 2023-04-24 |
연구분야 | 플라즈마 환경기술 개발 | ||
관련 특허번호 |
10-2021-0162106![]() |
||
기술개요 | • 본 기술은 질소산화물의 용존율을 높인 고농도 질소산화물 활성수 및 비료수의 제조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임. • 본 기술은 물에 용해된 NO2의 비율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러한 모니터링을 통해 목표로 하는 NO2의 용해 비율로 고농도 활성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함. |
||
기술적 개선점 | • 플라즈마에서 발생되는 활성 라디컬을 물에 용해시키면 용액에 활성 라디컬들이 용해되어 살균 및 다양한 효과를 가지게 됨 • 특히 플라즈마 방전 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 중 이산화질소(NO2)의 경우 물에 용해되면 식물이 흡수하는 질산태 질소(NO3-)로 존재하게 되며 비료로 활용 가능함. • 본 기술은 오존의 보존율을 높여 고순도 NO2가스를 생성, 고농도 질소산화물 활성수를 제조할 수 있고, 물에 용해되지 않은 NO를 포함하는 가스 또는 NO2가스를 질소산화물 가스생성에 재활용함에 따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함. |
||
시장전망 | • 2020년 한해 1억 8,000만 톤의 암모니아가 생산됐으며, 70%이상이 비료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었고 시장 요구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추정됨. • 특히, 액체비료 시장은 2019년 11억 4,07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11.8%로 증가하여, 2025년에는 22억 3,04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
기술사진 및 설명1 |
|
||
기술사진 및 설명2 |
|
||
응용분야 | • 질소산화물 고농도 활성수 및 생장수 제조 • 농산물 비료생산 설비 |
||
예상설비구축비용 | 설비 및 이전예상소요시간 |
||
참고 자료 |
![]() |
||
기술문의 | 성과확산실 안유섭 042-879-6235, yousub@kfe.re.kr |